국제 국제일반

강남재건축 하락세 주춤‥"반등은 글쎄"

8.31대책 이후 급락세를 보여 온 강남권 재건축단지들의 가격이 소폭 반등하면서 향후 가격 전망이 관심이다. 일각에서는 주요 재건축단지 가격이 지난 6월과 비교해 20% 안팎 하락하면서 바닥을 친 것 아니냐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일부 급매물이 소진돼 일시적으로 나타난 현상으로 매수세가 여전히 약하고 1가구2주택자 양도세 중과를 의식한 매물도 본격적으로 나오지 않아 아직 반등을 얘기하기엔 이르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 낙폭 큰 단지 중심으로 반등 = 16일 일선 중개업소들에 따르면 지난 6월부터내림세를 보여 온 재건축단지 시세는 이달 들어 일부 급매물이 소진되면서 약간 오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 5단지 34평형은 지난 6월 10억원을 웃돌던 시세가 8억원까지 떨어졌지만 지금은 8억5천만원 이하로 나온 매물이 없다. 대성공인 관계자는 "8.31대책 이후 짙은 관망세속에 가격이 하락했는데 이달 초급매물로 나왔던 매물이 하나 거래되자 매도자들이 일제히 수천만원씩 호가를 높였다"고 말했다. 강남구 개포 주공단지와 송파구 가락 시영단지, 강동구 고덕주공단지 등 최근 1억-2억원씩 가격이 빠졌던 단지들도 최근 수천만원씩 호가가 올랐다. 강남공인 관계자는 "개포 주공1단지 15평형의 경우 5억7천만원에 나오던 급매물이 얼마 전에 팔리자 호가가 6억원 이상으로 높아졌다"고 전했다. 부동산정보제공업체들의 통계에서도 이 같은 분위기를 확인할 수 있다.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 주 서울 재건축 가격은 변동이 없었다. 그 전주에는1.42%가 내렸다. 스피드뱅크 통계에서도 최근 3주간 재건축아파트 변동률은 -0.44%,-0.30%, -0.01%로 갈수록 낙폭이 줄어드는 추세다. 한국부동산정보협회 집계로는 지난 주 0.18%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분위기 반전은 매도자를 중심으로 그동안 단기간에 너무 낙폭이 큰 것아니냐는 심리가 팽배한 가운데 급매물이 소진되고 서울시 재건축 기본계획의 공람이 시작되면서 재건축 기대심리도 다소 살아난 것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 "일시적 현상일 뿐..더 떨어진다" = 하지만 최근의 반등 조짐을 급매물 소화에 따른 일시적 현상일 뿐 재건축가격은 더 떨어진다는 전망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최근의 반등으로 매수자와 매도자간의 치열한 기싸움이 생기겠지만 결국 다시하락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을 것이란 분석이다. 송파구 가락동 집보아공인 관계자는 "매도자들은 바닥이라고 생각하지만 매수자들은 더 떨어질 것이라는 의견이 대부분"이라면서 "분위기가 다소 달라지긴 했지만지속적인 회복세를 보이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강남구 개포동 G공인 관계자도 "급매물이 몇 개 소화됐지만 추격 매수에 나서는이들이 없다"면서 "당분간 약세가 지속되고 국회에서 부동산 법안들이 통과되면 다시 조정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콜금리 인상이 단행되면서 반등 조짐은 벌써 잦아드는 양상이다. 송파구 잠실동 대성공인 관계자는 "잠깐 매수세가 붙는듯 싶더니 콜금리가 인상되면서 매수세가 사라져 지금은 썰렁한 분위기"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반등을 경험한 매도자들이 쉽게 가격을 다시 낮추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동산114 김희선 전무는 "2007년부터 시행되는 1가구2주택자 양도세 중과를 의식한 매물들도 거의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바닥을 쳤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면서 "매수를 고려하는 이들은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내집마련정보사 함영진 팀장도 "워낙 매물이 없는 가운데 급매물이 팔리자 마치 반등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일시적인 것일 뿐 전반적인 분위기는 종전과 마찬가지로 조용하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이정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