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행당5구역 1대1 재개발 첫 등장

지분쪼개기로 조합원 수가 건립 아파트보다 많아<br>18세대 현금청산… 전문가들 "투자 조심을"

행당5구역 1대1 재개발 첫 등장 지분쪼개기로 조합원 수가 건립 아파트보다 많아18세대 현금청산… 전문가들 "투자 조심을" 전재호기자 jeon@sed.co.kr 과거 지분 쪼개기가 활발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전체 가구 수보다 조합원 수가 더 많거나 비슷한 단지가 늘고 있다. 이들 단지는 일반 분양 물량이 적어 조합원 부담이 늘어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7일 성동구청 및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중순 관리처분 계획인가를 받은 행당 5구역은 조합원 수가 건립 예정인 아파트 수보다 많아 일부 조합원이 주택을 받지 못하고 현금 청산됐다. 행당5구역의 아파트 수는 총 551가구. 이 중 임대주택 94가구를 제외하면 조합원 아파트는 457가구가 된다. 그러나 관리처분 인가 당시 조합원 수는 475세대에 달해 이 중 18세대(법적청산 대상 8세대 포함)는 주택 대신 현금만 받게 됐다. 전영진 예스하우스 대표는 “재개발 지역에서 조합원 수가 많아 일반 분양 물량이 없는 1대 1 재개발이 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일반 분양 물량이 없으면 그 만큼 조합원 부담이 늘게 돼 사업성은 떨어지게 된다”고 말했다. 결국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분을 마구 쪼갰던 탓에 비용도 크게 늘어난 셈이다. 실제 행당5구역은 재개발 규제가 강화되기 전인 2000년대 초반에 지분 쪼개기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성동구청의 한 관계자는 “2002년을 전후해 지분 쪼개기가 크게 늘었던 것으로 안다”며 “당시엔 대지지분 11㎡를 9㎡와 2㎡로 나눈 경우도 있었다”고 말했다. 관리처분 인가 신청을 앞두고 이주비 신청 및 지급 단계로 접어든 성동구 금호15구역도 일반 분양 아파트가 조합원 전체 물량의 10% 남짓에 불과하다. 총 1,029가구가 예정(임대아파트 94가구 제외)돼 있는 이 지역은 조합원 수가 932명이어서 일반 분양 물량은 97가구에 그쳤다. 전영진 대표는 “전체 가구 수에서 조합원 비율이 높으면 추가 부담금이 늘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재개발 지역에 투자할 때는 조합원 비율을 꼭 먼저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