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석유류 B2B 망 운영주체 싸고 갈등

석유 부문 B2B(기업간) 전자상거래망을 운영할 법인 설립을 둘러싸고 석유공사와 업계간 이해다툼이 심화하고 있다.석유공사는 외국 전문업체와 국내 회계법인 등이 참여하는 법인을 설립할 예정이나 업계는 국가 기간산업인 석유사업의 전자상거래망을 외국업체에 맡기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22일 산업자원부와 석유공사에 따르면 미국 소프트웨어 전문 업체인 CA사와 삼일회계법인, 한국생산성본부, 한국석유공사 등 국내외 4개 기관 및 업체는 한국내 석유 전자상거래망 운영법인을 설립키로 합의하고 오는 24일 합작 법인 설립 및 업무 제휴 계약을 체결키로 했다. 합작 법인 설립을 위해 자본금 16억4,000만원이 이미 조성됐으며 이중 CA사가 51%, 삼일회계법인 37%, 생산성본부가 12% 씩을 각각 출자키로 해 미국 업체인 CA사가 경영을 주도하게 됐다. 석유공사는 합작 법인 운영 및 시스템을 지원하는 업무 제휴 방식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SK와 LG, 현대, S-오일 등 국내 정유 4사는 참여하지 않는 것은 물론 정유업계 연합의 독자적인 전자상거래망 구축도 계획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업계 관계자는 『외국 회사가 전자상거래 운영법인의 경영을 맡게 된다는 것은 석유 뿐 아니라 가격결정구조의 대외의존도를 심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석유공사는 이에 대해 『외국 업체가 석유회사가 아니라 소프트웨어 전문회사로 이번 계약을 계기로 상거래망 구축에 본격착수하게 될 것』이라며 『국내 정유사들의 참여를 계속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전자상거래망 구축은 산업 전반에 걸쳐 이뤄지는 큰 흐름이고 석유 부문도 예외가 될 수는 없다』며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든 전자상거래가 기존의 업계 판매 방식을 대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권홍우기자 HONGW@SED.CO.KR 권홍우기자HONGW@SED.CO.KR 입력시간 2000/05/22 17:41 ◀ 이전화면

관련기사



권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