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ESPN, 3D 채널사업 접는다

저조한 수신장비 보급률·방영물 부족으로 인한 시청자 외면 탓

3D 방송에 대한 시청자들의 외면이 심화되면서 미국 최대의 스포츠 채널인 ESPN이 3D(입체영상) 채널 사업을 접는다.

ESPN 측은 최근 “가정에서 3D 채널을 보는 시청자가 적어 최근 3년간 운영해온 3D 채널을 더이상 운영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대주주인 월트디즈니가 사실상 사업을 주도하는 ESPN의 이번 결정은 시청자들이 3D 채널을 선호하지 않아 실패한 사업으로 내부에서 결론내렸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뉴욕타임스(NYT) 등 미국 언론은 불과 몇해 전까지만 해도 고화질(HD) 영상의 뒤를 잇는 차세대 방송사업으로 주목받던 3D 채널의 시장성에 대한 회의론이 퍼지고 있다고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특히 대규모의 시청자를 확보한 ESPN마저 이 사업을 접자 기존 시청자들이 여전히 3D 채널을 선호할 것인지 등을 놓고 시장성 논란이 일고 있다.

관련기사



미디어산업 관련 웹진을 운영하는 필립 스완은 “최근 몇년간 ESPN이 3D 채널 사업을 유지할지를 놓고 말들이 많았다”면서 ESPN의 사업철수를 계기로 3D 채널이 더는 수익성이 없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미국 내 케이블·위성 방송 사업자들도 앞으로 3D 채널 사업을 지속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3D 채널을 보유한 디스커버리, 소니, 아이맥스 등은 ESPN의 결정에도 이 사업을 계속 유지할 방침이다. 디스커버리 채널의 대변인은 “3D 채널은 연구·개발과 같은 분야”라면서 사업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3D 채널 사업은 수익악화로 인해 지난해 3D 채널로 방영된 프로그램 숫자가 정점에 달했던 2011년에 비해서 20% 적은 36개에 불과할 정도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 2009년 12월 제임스 카메룬 감독의 3D 영화 ‘아바타’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자 TV사업자들도 앞다퉈 이 사업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사업 초기부터 각 가정에서 3D 채널 시청을 위한 안경 구매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고, 3D 채널 방영물이 애초 기대만큼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각 가정에 3D 채널을 볼 수 있는 수신 장비가 널리 보급되지 않은데다 시청자들의 눈길을 확 끌어들일 만한 프로그램이 많지 않아 3D 채널 사업은 앞으로도 부진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