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유로존 재정위기 장기간 지속될 것”

-김석동 “각국 공조와 강력한 긴축 없으면 장기화..한국 대외충격 견딜 체력 있어” -박재완 “유럽재정위기 해결 오래 걸려”. 자본유출입 추가 규제 신중해야” -이코노미스트 컨퍼런스 기조연설 “유로존 재정적자는 구조적 문제에서 기인했기 때문에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렵다” 우리나라 경제ㆍ금융정책을 지휘하는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유로존 재정위기가 장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15일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 주최로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벨웨더 컨퍼런스’에 참석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나라는 통화(금리)와 환율로 비용 부담을 전 국민이 나눠 가진 덕에 재정건전성을 지킬 수 있었지만, 유로존은 그게 불가능했다"며 “각국의 공조와 (재정위기) 당사국의 강력한 긴축이 병행되지 않으면 (해결에) 굉장히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초 취임 당시) 유로존 문제는 해결이 어려울 것이고, 결국 올해 4분기나 내년 초에 이 문제가 `버스트(터지다)'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부실금융기관(부실 저축은행) 정리, 가계부채, 외환건전성 등을 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로 생각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한국 금융시장은 글로벌 환경의 변화에 따른 충격을 충분히 견디어 나갈 체력을 갖고 있다”며 "한국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빠르게 금융위기를 극복한 국가로 평가 받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른 나라에 비해 재정건전성이 튼튼하고 충분한 통화정책 여력을 갖추고 있어 위기에 대해 더욱 유연한 정책대응이 가능하다고 소개했다. 김 위원장에 이어 강연에 나선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도 “유로존의 재정위기 대응이 부진한 것은 방만한 재정운용과 함께 유로화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에도 기인한다”며 “회원국간 불균형 해소를 위한 메커니즘이 없어 재정적자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에는 상당기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자본유출입 추가 규제 여부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규제조치를 도입할 수 있는가에 대해 상당히 신중해야 한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그는“선물환 포지션 한도 규제, 외환건전성 부담금, 외국인 채권투자 과세 등 외환시장 규제 ‘3종 세트’를 단계적으로 도입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다고 생각한다”며 “여러 조치를 추가로 강구할 수 있지만 현 시점에서 소망스럽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3종 세트를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박장관은 중장기적인 자본변동성 완화 방안에 대해서는 “한국 혼자서 풀 문제라기보다는 국제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며 "주요 20개국(G20)이 논의해온 글로벌 금융안전망을 국제공조를 통해 좀더 강화하고,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체제(CMIM) 같은 역내 금융안전망과 아시아채권시장 발전안(ABMI) 등 구조적 노력을 배가하면 한국이 독자적인 특별한 장치를 고안하려고 애쓸 필요가 줄어들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우리금융지주 민영화와 관련, “우리는 경제 규모에 걸맞은 대형은행을 갖고 있지 못하고, 우리금융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민영화의 길로 가는 게 가장 시급하다”며 재추진 가능성을 열어뒀다. 김능현 기자 nhkimchn@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