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술 먹고… 담배 피고… 운동도 안하고… 성인男 비만율 女크게 웃돌아

성인 남성 비만율 36.3%, 국내 성인 10명 중 3명은 비만


지난해 19세 이상 성인 남자의 비만율이 36,3%를 기록, 여성(24.8%)에 크게 높았다. 특히 흡연, 음주, 운동 면에서도 여성보다 심각한 모습을 보이면서 남성들의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보건복지부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19세 이상 성인 비만율이 30.8%였다고 14일 밝혔다. 남성의 비만율이 36.3%로 여자의 24.8%에 비해 훨씬 높았다. 남성 비만율은 1998년 25.1%에서 지난해 36.3%로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여성은 같은 기간 26.2%에서 24.8%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만인 사람은 정상 체중인 사람에 비해 ▦고혈압 2.5배 ▦당뇨병 2배 ▦고콜레스테롤혈증 2.3배 ▦저HDL(고비중 리포단백질)콜레스테롤혈증 2.2배 ▦고중성지방혈증 2.4배로 발병률이 높다. 남성 가운데 특히 직장생활이 한창인 30~40대의 비만율이 각각 42.3%, 41.2%로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회식 등으로 에너지 섭취량이 많지만 앉아서 움직이지 않아 신체활동은 적은 생활습관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30~40대 남성의 에너지 섭취량은 각각 영양섭취기준의 112.5%, 105.6%로 높았지만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3.6%, 23%로 매우 낮은 편이었다. 고칼로리 섭취에 비해 움직임이 작아 비만을 자초하는 셈이다. 특히 남성들은 건강 증진과 질병예방에 필수적인 금연, 절주, 신체활동, 균형 잡힌 영양섭취 등이 개선되지 않고 악화됐다. 성인 남성의 흡연율은 1998년(66.3%)부터 2007년(45%)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나 이후 3년간 48% 내외로 다시 오름세를 보였다. 이는 6%대의 여성 흡연율을 8배 가까이 웃도는 것이다. 월 1회 이상 음주하는 남성은 2008~2010년 기간에 74.6%에서 77.8%로 꾸준히 증가하면서 43%대의 여성 음주율에 비해 배 이상 많다. 나트륨 섭취량은 남성의 경우 권장기준치의 3배인 400%로 여성 285%보다 훨씬 높아 심각한 상태를 보였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보건소를 중심으로 건강생활 실천을 위한 교육과 홍보를 추진할 것”이라며 “생애 주기별 식생활 지침 보급, 나트륨 섭취 줄이기 운동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