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추석 빨라 과일값이 '금값'

올 추석(9월18일)에는 채소와 한우 가격은 안정세를 보이는 반면 과일과 수산물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17일 농협유통에 따르면 올 추석은 작년보다 열흘 정도 빨라 배, 단감, 대추 등햇과일 가격이 작년보다 오를 전망이다. 배는 개화시기 냉해 피해로 제사상에 주로 오르는 대과(大果) 물량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돼 작년보다 10-20%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단감은 작년 추석보다 30-40% 정도 물량이 줄어 작년보다 2배 오른 가격에 거래될 전망이다. 대추도 출하량이 적고 품질이 좋지 않아 작년보다 30-40% 가격상승이 예상된다. 하지만 사과는 재배면적이 늘어난 데다 작황이 좋아 지난해와 비슷한 가격에 거래될 것으로 보인다. 13개들이 5Kg 한 상자에 3만8천원선. 부사는 출하시기가 맞지 않아 매장에 선보이기 힘들 것으로 예상되며 홍로, 홍장군, 감홍 등 늦여름 품종이 주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농협유통 이유신 주임은 "햇과일이 제대로 출하되기도 전에 추석이 찾아와 사과를 제외하고 배, 단감, 대추 등의 가격이 크게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멸치, 병어, 민어, 참가자미 등 주요 수산물은 조업 부진으로 작년보다 최고 2배 이상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선물세트로 인기 있는 멸치는 해류 변화로 동해와 남해에서 잡히던 것이 서해에서 잡히면서 어획량이 감소한 데다 품질이 좋지 않아 작년보다 10-20% 오를 전망이다. 병어, 민어, 참가자미도 조업 부진으로 작년보다 2배 이상 뛸 것으로 보인다. 조기의 경우 냉동 참조기는 봄철 풍어로 작년보다 15-20% 값이 내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생물 참조기는 9월 중순부터 조업이 시작되기 때문에 물량 확보가 어려워가격이 크게 오를 전망이다. 채소는 대부분 공급량이 늘면서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배추, 대파는 작년보다 5-10%, 무는 40% 이상 가격하락이 예상된다. 고사리, 도라지 등 나물류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설에 10-15% 값이 올랐던 갈비는 한우의 사육두수가 늘어나 작년 추석과비슷한 가격에 거래될 전망이다. 조류독감 여파로 크게 올랐던 닭고기와 계란은 공급물량이 충분해 작년 추석보다 낮거나 비슷한 시세에 거래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계란은 지난해보다 25-30%값이 떨어질 전망이다. (서울=연합뉴스) 황윤정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