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맞춤형 금융상품시대 열린다] 체크카드와 직불 신용카드 차이점

"자신에 맞는 카드 고르세요"

“내 몸에 맞는 카드는 무엇일까.” 카드사들이 체크카드에 대한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서면서 기존 신용카드와 어떤 점이 다르고 어떤 카드가 더 유리한 지 꼼꼼히 따져 봐야 한다. 더불어 신용카드 수수료 분쟁과 함께 이마트가 직불카드를 결제수단으로 채택하면서 이들 세 카드 중 어떤 것을 사용할 지 결정해야 하는 새로운 고민거리가 생겼다. ◇신용카드=회원의 신용으로 일정 한도의 돈을 외상으로 쓸 수 있게 한 카드다. 물건을 사더라도 일정기간 이후 결제된다. 카드 사용시점과 결제시점의 시차에서 발생하는 이자비용은 가맹점 수수료 등으로 충당, 회원들은 이자 없이 외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국내 가맹점도 300만여개로 많고 해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신용에 따라 쉽게 현금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급전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자신의 소득에 비해 과도하게 소비할 수 있다는 함정이 있다. ◇체크카드=은행 계좌의 잔액만큼 결제할 수 있는 카드로 결제와 함께 계좌에서 사용금액이 빠져나간다. 신용카드와 가맹점을 공유하기 때문에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곳에서는 언제든지 결제가 가능하다. 쉽게 말해 ‘직불형 신용카드’인 셈이다. 일부 체크카드는 신용공여(외상거래) 기능이 있어 신용카드의 장점인 현금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최근 카드사들이 체크카드 회원 모집에 열중하면서 사용액의 일부를 현금으로 돌려주는 캐시백은 물론 마일리지나 포인트도 상대적으로 많이 제공한다. ◇직불카드=물건을 사면 곧바로 은행 잔액에서 빠져나가는 카드다. 현금인출기에서 돈을 뽑아야 하는 과정만 생략한 가장 초보적인 카드결제 수단이다. 계좌에 남아있는 돈만큼만 사용할 수 있다. 현금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과 합리적인 소비 유도를 위해 국내에 도입했지만 신용카드에 비해 기능이 제한돼 활성화되지 못했다.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이 신용카드의 10분의 1 수준인 30만여곳에 불과한 것도 단점이다. 또 은행 공동망 가동시간에만 사용할 수 있어 늦은 밤에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한편 올해부터 신용ㆍ체크ㆍ직불카드 모두 연말정산을 위한 소득공제율이 20%로 같아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