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주유소 가격공개 사이트, 네티즌 폭주로 다운 '몸살'

개통 첫날, 일부선 고시가 엉터리 게시도

주유소 가격공개사이트가 개통 첫 날 네티즌들이 일시에 몰리면서 다운되고 일부 고시 가격도 엉터리로 드러나는 등 여러 문제점을 노출했다. 15일 공개된 주유소 종합정보 제공시스템(www.opinet)은 이날 오전9시 개통 직후 몰려드는 네티즌들의 접속 시도를 견디지 못하고 다운됐다. 운용을 맡고 있는 석유공사는 “공사의 사이트가 분당 최대 70만명이 접속할 수 있는 수준이나 개통 직후 동시에 30만명이 접속하면서 사이트가 다운됐다”고 설명했다. 석유공사는 KT에 의뢰해 긴급 시스템 복구에 나섰으나 네티즌들의 접속 시도가 계속 불어나면서 이후에도 접속이 어려운 형편이다. 이날 네이버를 비롯한 주요 포털사이트에는 이 사이트의 주소를 찾기 위한 네티즌들이 급증하면서 ‘주유소 가격공개’ ‘주유소 가격정보’ ‘opinet’ 등의 검색어가 실시간 검색순위 최상위권에 포진했다. 사이트에 표시된 가격과 실제 판매가격이 다른 경우도 발견됐다. 경기도 동두천시 한 주유소는 공개사이트에 휘발유 가격이 경기북부지역에서 가장 저렴한 1ℓ당 1,539원으로 표시했으나 실제는 1ℓ당 1,699원에 판매했으며 인근 다른 한 주유소도 역시 공개사이트에 휘발유를 1ℓ에 1,579원이라고 게시했으나 실제로는 2개월 전부터 1,679원에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차이를 지식경제부도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정확한 원인을 아직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일단 주유소에서 카드 결제시에 쓰는 단말기의 가격 세팅이 잘못됐을 경우 잘못된 가격이 공시될 수 있고 소비자들이 할인되는 각종 신용카드나 휴대전화 서비스 등을 이용해서 싸게 결제할 경우 일반적인 판매가격과 다른 가격이 올라올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가격 정보는 신용카드 결제 등에 쓰이는 금융 부가가치 통신망을 통해 들어오는 것”이라며 “올라온 가격을 검증하는 시스템도 함께 가동하고 있으며 원인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