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Culture] 영국 휩쓰는 아시아계 가요그룹들

비틀즈의 고향 영국이 최근 아시아계 그룹들의 열풍에 휩싸여 있다. 주로 인도와 파키스탄계인 이들 그룹과 대중 가수는 이민세대의 후예로서 인종과 문화의 장벽을 뛰어넘어 올들어 세계 대중음악의 본고장인 영국의 인기차트를 석권, 유럽 대중음악계에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인도와 파키스탄계 그룹, 가수들은 또 특정 분야뿐 아니라 록이나 랩, 팝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역량을 발휘하고 있으며 일부는 독자적 음반사를 설립, 같은 분야의 신인 가수들을 지원하는 등 영국내 음반시장에서도 독보적인 지위를 구축해 가고있다. 영국 매스컴들도 최근 이들 '아시안 언더그라운더'의 열풍을 대대적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르 몽드 등 프랑스 언론도 아시아계 음악인들의 활약상에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이른바 白人들이 지배하는 배타적인 영국의 음반업계에서 지난 5년간 무명으로 설움을 겪다 코너숍이라는 그룹을 결성, '아샤의 눈물'이라는 음반을 펴낸 가수 겸 작곡가 틴더 싱은 최근 자신의 음반이 영국내 인기차트를 석권하면서 뒤늦게 진가를 인정받고있다. '아샤'는 인도의 한 여배우 이름. 또 인도 시크족 출신의 신예 음악가 탈빈 싱은 'OK'라는 음반을 출간해 화제를 모으고 있는데 최근까지 언더그라운드 가수로 음지에서 활동해온 탈빈 싱은 자신의 모국인 인도의 전통음악요소와 현대 전자음악요소를 훌륭하게 접합시킨 이 음반으로 단번에 신세대 음악의 기수로 각광받고 있다. 이밖에 '펀더멘털' '슈리' '화이트 타운' '니틴 소네이' '컨필레이션' 등 인도나 파키스탄계 그룹들이 우후죽순식으로 대거 등장, 영국내에 선풍을 일으키고 있는데 탈빈 싱의 경우처럼 인도나 파키스탄 전통의 '에너지로 가득찬 리듬'이 영국의 팬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이들 아시아계 대중 그룹은 처음에는 같은 이민 후예로 독자적 리듬으로 영국내에서 입지를 구축한 자메이카 출신 그룹들의 성공에 영향받았으나 이제는 자메이카출신들의 토속적 리듬에 동양의 '깊이'를 더한 독특한 분위기로 오히려 자메이카 출신들을 능가하고 있다. 힌두교나 회교 등 가정의 종교적 한계속에서 억눌려 온 이들 인도, 파키스탄계 음악인은 외부로는 백인들이 지배하는 영국내 음반산업계로부터의 소외감과 내부적으로는 서양음악, 특히 전위적인 첨단음악을 죄악시하는 가정의 종교적 분위기 등 어려운 상황속에서 '뿌리'와 현실을 조화시킨 독자적인 음악세계를 구축하는데 성공해 더욱 화제를 모으고 있다. <<영*화 '네고시에이터' 무/료/시/사/회 1,000명 초대(호암아트홀) 텔콤 ☎700-9001(77번코너)>>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