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포스코 인도네시아 제철소 가동

연산 300만톤 규모 … 원가 경쟁력 확보

"중동까지 판매처 확대할 것"

정준양 포스코 회장이 23일 인도네시아 크라카타우제철소에서 열린 화입식에서 용광로에 첫 불을 지피고 있다. /사진제공=포스코

포스코가 동남아 최초의 일관제철소를 가동하며 현지시장을 적극 공략한다.

포스코는 23일 인도네시아 찔레곤에 위치한 크라카타우 제철소에서 용광로에 첫 불을 지피는 화입식을 거행하며 공장 가동에 들어갔다. 크라카타우포스코는 포스코의 첫 해외 제철소이자 동남아시아 최초의 일관제철소로, 포스코와 인도네시아 국영철강사 크라카타우스틸이 7대3의 비율로 총 30억 달러를 투자해 건설했다. 제선, 제강과 후판공정을 갖추고 있으며, 연간 슬라브 180만톤과 후판 120만톤 등 총 300만톤을 생산할 수 있다.


준공식에는 정준양 회장과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인도네시아 대통령, 김재홍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등 양국 정부 및 회사 관계자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정 회장은 “지난 30개월간의 일관제철소 건설은 쉽지 않은 여정이었지만 한국의 기술과 인도네시아의 우수한 인적자원이 힘을 합쳐 성공할 수 있었다”며 “포스코가 제철보국 이념으로 국가경제 발전의 밑거름이 됐듯 크라카타우포스코도 인도네시아에서 포스코와 같은 역할을 수행해 줄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크라카타우포스코는 적극적 시장 개척과 저원가 조업기술로 가동원년인 2014년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할 방침이다. 수출가 대비 가격이 높은 내수시장에 판매망을 적극 확보하고, 내년 중에 슬라브 150만톤과 후판 60만톤을 인도네시아 내에 판매하기로 결정했다. 일관제철소 생산이 본 궤도에 오르면 동남아시아는 물론이고 중동까지 판매처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는 수입산 철광석 대비 가격이 저렴한 인도네시아 철광석을 단계적으로 30%까지 사용하는 등 원가절감을 지속해 조기에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일관제철소 건설에는 포스코 계열사의 역량이 총 집결됐다. 포스코건설은 일관제철소에 대한 종합 엔지니어링과 건설을 총괄했으며 포스코에너지는 제철소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200MW 기력발전소를 담당했다. 포스코ICT(EIC 엔지니어링과 IT통합시스템 구축), 포스코켐텍(석회소성로 및 화성부산물 처리설비), 포스코엠텍(쇳물 생산에 필요한 알루미늄탈산제 공장 설립), 대우인터내셔널(해외 수출 및 내수판매 지원, 현지 신규 자원개발) 등도 참여했다.

포스코는 국내 248개 중소기업과 함께 제철소를 건립해 해외에서의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상생의 모범사례도 제시했다. 중소기업들은 포스코의 선진 철강설비를 습득하고 글로벌 역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포스코는 인도네시아 일관제철소 가동을 통해 중국-베트남-인도네시아-인도를 연결하는 철강벨트를 완성하고 동남아시장을 적극 공략해 명실상부한 세계 최강의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철강사로 지속 성장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