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10가구중 3가구 '적자 가계'

세금·국민연금등 부담늘며 소득보다 지출 더많아…빈부격차도 심화

10가구중 3가구 '적자 가계' 세금·국민연금등 부담늘며 소득보다 지출 더많아…빈부격차도 심화 우리나라 10가구중 3가구가 가처분 소득보다 지출이 많은 '적자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이처럼 곤궁한 가운데에서도 세금과 국민연금 등의 부담 증가율은 환란 이후 최고치를 기록, 가계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상ㆍ하위 계층간의 소득 격차가 7배를 넘는 등 빈부 격차도 여전한 것으로 파악됐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1ㆍ4분기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전국 및 도시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277만7,000원과 286만6,000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각각 6.8% 늘어났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소득은 월평균 244만9,000원과 252만7,500원으로 작년 1ㆍ4분기에 비해 각각 3.4% 증가에 그쳤다. 반면 전국 및 도시의 가구당 월평균 지출액은 237만4,000원과 244만4,000원으로 작년 동기에 비해 각각 9.8%, 9.7% 늘어 소비증가율이 현저하게 높았다. 같은 기간 도시근로자의 가계지출 증가율은 10.1%로 지난 2001년 4ㆍ4분기의 10.2% 이후 2년여만에 가장 높았다. 이에 따라 전국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ㆍ연금 등 비소비지출 제외)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이 차지하는 비율인 흑자율은 작년 1ㆍ4분기 18.9%에서 올 1ㆍ4분기엔 16.5%로 2.4%포인트가 떨어져 가계수지가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전국 가구의 40%에 해당하는 소득 1분위(소득 최하위 20%)와 2분위(소득 차하위 20%) 계층은 흑자율이 각각 -72.6%와 -2.0%로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많아 생활고가 심한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은 이와 관련 "1분위와 2분위 가구의 절반과 중상위층인 3ㆍ4ㆍ5분위의 20%가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많아 전국 가구의 31.9%가 적자상태"라며 "이 중 절반인 15%정도가 이자나 연금소득 등을 합쳐도 지출을 충당할 수 없는 '생계곤란형 적자'"라고 설명했다. 빈부 격차가 벌어지면서 상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74만4,600원으로 하위 20%에 속하는 계층의 평균소득 74만800원에 비해 7.75배가 많았다. 도시 근로자가구의 소득 격차는 5.70배로 1ㆍ4분기 기준으로는 지난 1999년의 5.85배 이후 4년여만에 가장 컸다. 도시근로자의 소비지출 중에서는 세금ㆍ연금 부담이 높아지면서 비소비지출이 20.6%나 늘어 지난 1997년 이후 최고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김영기 기자 young@sed.co.kr 입력시간 : 2004-06-08 16:5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