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S&P와 연례협의] 북핵ㆍ카드채등 경제전반 평가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 앤 푸어스(S&P)의 국가신용평가팀이 방한, 경제전반에 대한 평가에 들어가 신용등급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28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존 체임버스 국가신용등급총괄 전무 등 2명으로 구성된 S&P 협의단은 이날부터 다음달 1일까지 한국경제 현황파악을 위한 연례협의를 갖는다. 협의단은 이 기간중 재경부와 금융감독위원회, 통일부, 한국은행, 국제금융센터, 한국개발연구원(KDI), 국방부, 자산관리공사 등을 방문해 우리 경제의 현황을 파악한 뒤 신용등급 산정에 반영하게 된다. S&P는 특히 북핵 해결전망과 신정부의 경제정책, SK글로벌 및 카드사 문제 등 경제 전반에 대한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최종구 재경부 국제금융과장은 “북핵문제, 사스에 따른 경제영향, 신정부 경제정책 방향 등이 주요 협의사안”이라며 “S&P가 이번 협의평가 결과를 어떤 식으로 신용등급 조정에 반영할 지는 아직 미지수”라고 말했다. S&P는 협의단이 평가를 마치고 돌아간 후 내부논의를 거쳐 1~2개월 뒤 신용등급 조정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이르면 오는 6월께 S&P는 한국 신용등급 현행 유지 또는 하향ㆍ상향조정여부를 발표할 것으로 관측된다. S&P는 지난해 7월 우리 나라의 신용등급을 `A-`로 한단계 상향조정했었다. S&P의 신용등급 조정여부는 현재로서는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지만 가장 큰 난제인 북핵문제의 사태 전개에 따라 하향ㆍ상향조정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북핵문제가 평화적으로 해결될 경우 상향될 수 있고, 지지부진한 상태로 장기화되거나 악화되면 현행 유지도 힘들 전망이다. 재경부는 통일부, 금감위 등 관련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이번 협의에서 북핵문제는 물론 경제전반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설명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임석훈기자 shim@sed.co.kr>

관련기사



임석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