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20대 A형간염 항체 보유율 2% 불과

서울 강남권이 더 낮아

올해 유행이 예상되는 A형간염에 대한 20대의 항체 보유율이 2%에 불과해 예방접종이 시급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을 지닌 항체보유율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감염위험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생활 수준이 높은 서울 강남권 20~30대의 경우 항체보유율이 비강남권의 절반에도 못 미쳐 A형간염 발생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유병철ㆍ백승운 교수팀은 건강의학센터를 방문한 250명의 A형간염 항체 보유율을 조사한 결과 20대의 경우 50명 중 1명만이 항체를 지니고 있어 항체보유율이 2%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30대ㆍ40대ㆍ50대ㆍ60대의 항체보유율이 각각 72%ㆍ92%ㆍ94%ㆍ100%인 것에 비교하면 크게 낮은 수치로 20대의 98%가 A형간염 발병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20~30대의 경우 강남구ㆍ송파구ㆍ서초구 등 서울 강남권 거주자의 항체보유율은 평균 20%로 비강남권 같은 연령대의 항체보유율(42%)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전반적으로는 20~30대 서울 거주민의 항체보유율(25.6%)은 지방(55.6%)보다 낮게 나왔다. 백 교수는 "지방보다는 서울이, 서울에서는 강남 지역이 더 나은 사회ㆍ경제적 수준으로 어릴 때부터 깨끗한 위생환경에서 자랄 수 있는 여건이 조성돼 A형간염에 상대적으로 덜 노출됐기 때문"이라며 "나이가 들어 A형간염에 걸릴 경우 황달 등 심한 증상이 나타나고 심지어 간이식이 필요한 경우도 발생하는 만큼 항체를 보유하지 않은 사람은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A형간염은 초기 증상이 발열ㆍ오한ㆍ두통으로 감기몸살과 비슷해 치료를 소홀히 하다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당부된다. 어릴 적 감염되면 별다른 증상 없이 치료돼 항체가 형성되지만 성인이 감염되면 심각한 상태로 악화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고령이면서 A형간염 항체가 없는 사람, 만성간질환자 및 과음을 즐기는 20~30대 젊은 층은 가능한 예방백신을 접종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