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불법 계좌조회 별도조직 확인… 이백순 전 신한은행장 중징계

금감원, 당시 경영진 제재 조치… 서진원 現행장은 연루 안돼<br>내년 초 하나 'KT ENS' 징계… 김종준 前행장은 제외 될 듯

'신한 사태' 당시 이백순 전 행장 등 신한은행 경영진이 신상훈 전 지주 사장을 몰아내기 위해 '비선 조직'을 결성, 불법적 계좌추적을 한 혐의가 금융감독원의 검사에서 상당 부분 입증됐다.

이에 따라 내년 초 금감원은 이 전 행장 등 당시 경영진에 대한 고강도 제재 조치를 내릴 방침이다.


다만 서진원 행장 등 신한의 현직 경영진은 사태에 연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큰 파장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KT ENS 부실 대출 의혹을 받고 있는 하나은행에 대한 금감원의 제재도 내년 초 이뤄질 예정인 가운데 김종준 전 행장은 제재 대상에서 벗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21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신한은행 불법 계좌 조회에 관한 추가 검사 및 하나은행의 KT-ENS 부실 대출에 관한 검사를 마무리 짓고 제재 수위를 논의하고 있다.


신한에 대한 추가검사는 최근 종료돼 제재 결정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신한 사태는 지난 2010년 신한은행이 전임 은행장이었던 신 전 사장을 검찰에 고소하면서 불거진 신한 최고위층 간의 격렬한 내분 사태를 일컫는다.

당초 금감원은 신한은행이 신한사태 당시 신 전 사장과 전·현직 직원과 가족, 고객들의 계좌를 불법 조회한 사실을 확인하고 전·현직 임직원 20여명에 대한 징계를 사전 통보했다. 신한은행도 기관주의 처분을 예고받았다.

하지만 10월 김기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새로운 의혹을 제기하면서 사태가 확산됐다. 김 의원은 신한은행이 신한사태 때 최고경영진 지시로 '계좌추적팀'과 같은 전담팀을 결성해 조직적으로 개인정보 조회를 벌였다는 문건을 폭로했다.

이에 대한 추가 검사를 벌인 금감원은 당시 신한은행 경영진이 개입된 비선 조직 결성이 사실이었음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 고위 관계자는 "최고 경영진 지시로 불법 계좌조회를 위한 비선 조직이 만들어졌음은 확인됐지만 구체적인 혐의는 입증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신한사태에 대한 징계는 당시 최고 경영진인 이 전 행장으로 확대됐다. 당초에는 현직 신한은행장인 서 행장도 이 사태와 관련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있었으나 서 행장은 관련이 없는 것으로 전해져 현 경영진에 대한 타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금감원은 KT ENS 부실 대출과 관련 하나은행에 대한 징계도 내년 초에 결정한다. 하나은행은 KT ENS 부실대출 사건 당시 피해가 가장 컸던 곳으로 KT ENS 협력업체에 대출한 금액 중 1,614억원을 받지 못했다. 이와 관련, 하나캐피탈 부당 대출 건으로 금감원의 중징계를 받은 바 있는 김 전 행장이 추가 제재를 받을 것으로 예상됐으나 징계 대상에서는 벗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 관계자는 "여신에 대한 최종 책임을 부행장이 갖고 있던 구조"라며 "당시 은행장에게까지 책임을 돌리기에는 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