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소야대 고착 차단 겨냥 '올인'

4·30재보선…다급한 우리당<br>6곳중 3곳 기대 불구 승리 장담못해 위기감…한민자 연합까지 나와

열린우리당이 오는 4ㆍ30 재보선에 ‘올인’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국회 과반의석 회복을 위해서다. 우리당은 지난 25일 이철우ㆍ김맹곤 의원이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 17대 국회 11개월 만에 과반이 붕괴됐다. 25일 의원직을 잃은 2명 외에도 우리당은 강성종ㆍ오영식ㆍ신계륜ㆍ이호웅ㆍ김기석 의원 등이 하급심에서 당선무효형을 선고받았기 때문에 최종심 결과에 따라 전체 의석 수가 더 줄어드는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우리당은 우선 수적 우위를 바탕으로 한 법률안과 각종 안건의 단독 처리가 불가능해졌다. 그동안 과반의석 확보에 따른 협상에서의 우위도 더이상 누릴 수 없게 됐다. 결국 한나라당이나 비교섭단체와의 전략적 또는 사안별 공조에 나설 수밖에 없는 처지다. 한마디로 원내에서의 헤게모니를 잃었다는 얘기다. 당장 우리당은 4월 국회에서 과거사법과 반부패 관련 법안을 처리할 예정이지만 과반붕괴로 처리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우리당이 4ㆍ30 재보궐선거에서 잃은 의석을 모두 되찾아온다면 문제가 없지만 그 반대의 경우 여소야대 상황이 고착화될 수도 있다. 재보궐선거 지역은 경기 성남중원과 연천포천, 충청 공주연기와 아산, 경북 영천과 경남 김해갑 등 6곳. 우리당은 이중 성남중원과 충청지역 1곳 등 모두 3곳에 기대를 걸고 있다. 그러나 행정도시특별법의 통과로 수도권 지지율에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고 충청지역에서도 정진석 전 의원 등 무소속이 강세를 보이고 있어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28일 정계개편을 염두에 두고 민주당ㆍ자민련과의 보수 대연합, 즉 ‘한민자 연합’ 가능성을 언급함으로써 우리당의 위기의식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민주당 등 비교섭단체와의 사안별 공조로 한나라당의 견제를 돌파해야 하는 상황에서 정계개편에 있어 한나라당에 주도권을 빼앗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