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진로 몸값 급등우려… 매각 회의론 등장

소주업체 진로의 매각을 위한 입찰이 1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진로가 너무 비싸게 팔릴 경우 국부 유출이라는 지적과 함께 매각하지 않는 것만 못했다는 논란이 일 전망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진로의 주요 채권자인 골드만삭스가 진로의 기업가치를 3조6천억원 정도로 평가한 이후 진로가 과도하게 비싼 가격에 팔릴 경우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진로 매각의 득실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등장하고 있다. 즉 매각이 되지 않더라도 진로가 정리계획안의 변제계획을 이행하면 경영이 정상화될 수 있는데, 굳이 비싼 가격에 팔아 진로 채권의 70% 가량을 갖고 있는 외국계 투자가들에게 자금이 빠져나가게 할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다. 진로 정리계획안의 변제계획을 보면 진로는 10년간 채권자에게 현금으로 약 1조2천억원을 변제한뒤 그 이자에 해당하는 6천억원 가량을 출자전환하도록 돼있다. 여기에 미확정 채무 7천억원 가량의 50%(3천500억원) 정도만 변제하면 된다고 볼 경우 진로는 매각되지 않더라도 현금변제와 출자전환, 미확정 채무의 변제 등을합쳐 2조∼2조2천억원 정도만 소요되면 채무를 완전히 갚아 정상화되게 된다. 진로는 이 변제계획에 따라 작년말에 이미 1천억원 가량을 갚았으며 지난해 2천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올린 경영실적으로 볼 때 10년간으로 돼있는 변제기간도 훨씬 앞당겨질 가능성도 높은 상태다. 이에 반해 진로가 채권자의 희망대로 몸값이 비싸져 3조원 정도에 매각된다고 가정하면 변제계획에 비해 8천억∼1조원 정도의 돈이 더 들어가는 셈이고 이중 상당부분을 채권자인 외국계 투자가들이 거둬가게 돼있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진로의 매각 가격이 너무 비싸지면 변제계획을 이행하는 것만 못할 수도 있다"며 "인수업체 입장에서도 무리하게 인수를 하면 투자금액 회수를위한 제품 가격 인상 등의 시도를 할 수 밖에 없어 결국 국민에게 부담이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현준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