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强달러' 美정부-업계 마찰고조

제조업등 "고평가로 가격 경쟁력 치명타" 주장미국 정부의 '강한 달러(strong dollar)'정책을 놓고 정부와 업계의 불협화음이 고조되고 있다. 미 행정부는 클린턴 행정부 시절부터 강한 달러 정책을 통해 외국 투자자본 유치와 물가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확보했던 셈이다. 반면 달러화 강세에 따른 여파로 외국업체와의 경쟁에서 뒤떨어질 수 밖에 없었던 업계는 정부에 강한 불만을 터트리고 나섰다. 강한 달러에 대한 미 내부의 불협화음은 즉각 금융시장에도 파급됐다. 14일 외환시장에는 달러가 유로화에 대해 약세로 돌아서면서 유럽계 자본이 뉴욕 금융시장을 빠져나갔다. 또한 그동안 강한 달러로 반사이익을 얻어왔던 대미 수출국들은 향후 달러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달러강세에 대한 업계의 불만 고조 전미제조업협회(NAM)는 14일 달러화가 고평가돼 있어 미국 제조업체들이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강한 달러 정책을 포기하라'고 들고 나섰다. NAM의 제리 재시노스키 회장은 "달러화는 적정 가치보다 25~30%나 고평가되어 있어 업체들의 가격 경쟁력에 치명상을 입히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저금리,무역적자,성장률 둔화 등 미 경제에 더 이상의 펀더멘털은 없다"며 "필요하다면 제조업체들은 강한 달러 정책 철회를 위한 집단적 행동도 고려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앞서 이달 초에는 NAM, 제조기술협회, 항공우주산업협회, 자동차무역평의회 등 6개의 업계 단체는 공동으로 폴 오닐 미 재무부 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현재의 달러 시세는 미국 제조업의 수출, 생산, 고용에 큰 악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 이에 따른 업계의 피해를 해결해 달라고 호소했다. ◇강한 달러 정책의 변화는 없을 듯 업계의 강한 달러 정책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당분간 부시 행정부의 정책 선회는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폴 오닐 미국 재무부 장관은 업계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강한 달러 정책을 계속 할 것임을 계속 밝혀 왔다. 오닐 장관은 지난 7일 "클린턴 행정부때부터 이어져 온 강한 달러 정책을 고수할 방침이며 미국 기업들이 달러 강세에도 불구하고 성장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부시 행정부가 앞으로 경기가 살아나지 않고 중간선거가 가까워지면 환율정책에 대한 논란은 또다시 불꽃을 튀길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관측했다. 한운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