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012 신년기획] 일자리해결 37%·물가안정 26%

서울경제신문·한국리서치 신년 설문조사- 시급한 경제 과제


지난해 일자리가 예년에 비해 많이 늘기는 했지만 일자리는 여전히 국민들에게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경제 문제로 꼽혔다. 반면 사회 문제화되고 있는 정규직과 비정규의 격차 문제 해결은 가장 낮은 과제로 선택돼 '일단 어떤 일자리건 늘리는 게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일자리 문제 해결이라는 응답이 37.1%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물가(26.4%), 빈부격차(17.8%) 등으로 나타났다. 주택 문제(8.3%),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4.2%),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격차(4.2%) 등은 상대적으로 응답률이 낮았다.


이는 어떤 일자리건 당장 지갑을 채울 수 있는 '일'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인식하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일자리에 대한 국민들의 시각은 비정규직 문제와 맞물려서도 비슷했다. 예컨대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대한 입장을 묻는 설문에 응답자의 56.0%는 '비정규직을 두되 비정규직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는 '근로자의 일자리 안정을 위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한다(42.2%)'는 대답보다 13.8%포인트가 높다.

관련기사



물론 국민들은 비정규직이 늘면서 발생하는 사회 문제에 대한 심각성은 인정하고 있다. 향후 우리 경제를 가장 위협할 요소로 '정규직이 너무 많고 처우가 좋지 않다'는 응답이 37.5%로 가장 높았음에도 국민들은 일자리를 위해 비정규직 처우개선에 더 방점을 찍었다. 경제위기의 골이 깊어지자 정규직 전환보다 비정규직 처우개선으로 기업 경영부담도 덜고 비정규직 일자리라도 늘리는 게 낫다는 것이다.

다만 소득별로는 연평균 가구소득이 1,000만원 미만인 응답자의 49.1%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45.4%는 비정규직의 처우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소득이 올라갈수록 비정규직 처우개선이 우선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연평균 가구소득 1,000만~3,000만원은 54.3% ▦3,000만~5,000만원은 51.9% ▦5,000만~7,000만원은 67.4% ▦7,000만원 이상은 66.0%의 응답률을 보였다.

높은 물가와 빈부격차 문제도 일자리 해결보다 시급성은 낮았지만 비교적 높은 과제로 꼽혔다. 응답자의 26.4%가 물가 문제 해결을 꼽았다. 생활필수품을 중심으로 물가는 급등한 반면 실질임금은 답보상태를 보이는 만큼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을 덜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물가를 꼽은 응답자 가운데는 여성(31.5%), 판매ㆍ영업ㆍ서비스직 종사자(38.1%), 주부(35.5%), 학생(36.1%) 등이 많았고 지역별로는 광주ㆍ전북ㆍ전남(36.3%)에서 많았다.

빈부격차 해소를 강조한 응답자는 여성보다 남성(24.4%)이 많았고 자영업자(26.7%)나 생산ㆍ노무(32.4%) 등에서 비교적 비율이 높았다. 특히 서울거주자가 여타 지역보다 높은 응답률을 보였는데 이는 서울의 빈부격차가 크다는 점을 방증한다.

박해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