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 아파트 공급 감소세 지속

올 1~6차 동시분양 2002년比 14% 줄어

서울 지역 아파트 공급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서울의 아파트 택지 부족이 심화되고 있는데다 잇단 규제강화로 재건축단지의 사업승인 규모가 급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해 서울 동시분양 1~6차로 나온 일반분양 아파트는 총 6,564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6,053가구보다 다소 늘었지만 지난 2002년, 2001년과 비교하면 각각 14%, 34% 정도가 줄었다. 99년 이후 매년 2만 가구를 넘던 연간 일반분양 물량도 2001년 2만6,559가구를 정점으로 2002년과 2003년 각각 1만4,663가구, 1만1,885가구로 절반이 감소했다. 올해 역시 재건축사업 부진과 건설업체들의 잇따른 분양 연기로 1만가구를 웃돌기가 힘들 전망이다. 5일부터 청약에 들어가는 7차 동시분양의 일반분양은 고작 173가구로 2001년 7차(38가구) 이후 2년 만에 가장 적은 물량이 나온다. 이처럼 일반분양 물량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부동산 경기 침체, 정부 규제에 이어 신규 아파트 공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재건축을 통한 물량공급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서울시 총 건설실적의 30~40%를 차지하는 재건축의 사업승인이 급감하면서 일반공급 물량도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 무분별한 재건축을 규제하기 위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 시행된 지난해 7월 이후 6개월 동안 사업승인을 받은 재건축 가구 수는 총 4,122가구로 2002년의 6,322가구와 2001년의 5,407가구에 비해 1,000~2,000가구 이상 줄었다. 서울시 주택기획과에 따르면 올들어 1~6월 사업승인을 받은 서울 지역 재건축단지는 13곳 8,092가구로 2001년, 2002년 상반기의 승인가구 수 8,367가구, 1만1,350가구에 육박했다. 하지만 사업승인 단지 수는 3분의1 수준에도 못 미친다. 또 3월 승인된 5,678가구 규모의 초대형 단지인 잠실주공 1단지를 제외하면 사업승인을 받은 13곳 중 9곳이 100가구 미만의 소형 단지이어서 일반물량 증가에는 도움이 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D건설 주택사업부의 한 관계자는 “소형평형 의무건립비율과 개발이익환수제 도입 등에 따라 서울 지역 재건축사업이 무더기로 지연될 경우 장기적으로 신규 주택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욱기자 hwpark@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