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통합민주당 지도체제 '절충형' 가닥

단일성 체제에 최고위 의결기구로 격상

7ㆍ6 전당대회를 앞두고 단일 지도 체제냐, 집단 지도 체제냐를 놓고 논쟁을 벌여온 통합민주당이 ‘절충형 지도체제’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현행 당헌ㆍ당규에 따라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가되, 최고위원회를 의결기구로 격상시켜 당 대표에 힘을 실어줌과 동시에 계파간의 힘의 안배도 적절히 가미하겠다는 포석이다. 손학규계로 분류되는 송영길 의원은 29일 “순수 집단지도체제로 갈 경우 또 다시 백가쟁명식으로 갈 수 밖에 없다. 당에는 단일한 구심점이 있어야 한다”며 “다만 심의 기구인 최고위원회를 의결기구화해 당 대표가 최고위원회와 중요사안을 함께 협의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순수 집단지도체제를 선택했던 열린우리당이 분출하는 계파간 이해를 교통정리하지 못한 채 자중지란을 겪었던 전철을 밟지 말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강하게 작용한 것이다. 이 같은 절충형을 채택할 경우 당 대표와 최고위원들은 분리 선출된다. 이런 가운데 과거 열린우리당의 핵심계파였던 김근태계와 원외 일부 인사들이 순수 집단지도체제를 채택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지만 당내 권력 지형상 어느 정도 탄력을 받을 지는 미지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