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항만노무공급 개선 '표류'

부산항운노조 새 집행부 구성 늦어져<BR>평조합원도 별도 개혁추진…진통 지속될듯

항만노무공급구조 개선작업이 부산항운노조 새 집행부 구성의 지연으로 논의조차 이뤄지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 부산항운노조는 노무공급권 포기를 선언하고 박이소 위원장이 사퇴의사를 표명했음에도 간부들이 대부분 구속, 대의원대회를 소집하지 못해 새 집행부를 구성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사정 대화는 물론 구조개선의 핵심 당사자인 노정간 대화의 문이 열리지 못하고 있다. 24일 부산항운노조에 따르면 노조 규약상 노조위원장의 사퇴는 위원장이 대의원대회를 소집해 처리하거나 처리를 직무대행에게 맡길 수 있다. 그러나 박 위원장이 구속된데다 직무대행 권한이 있는 부위원장 5명마저 모두 구속되거나 잠적, 새 집행부 구성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 22일 현재 구속된 노조간부는 박 위원장을 비롯, 오문환 전 위원장, PㆍSㆍJ 부위원장, 부장급 등 무려 18명. 특히 비상대책위원회가 해산된 후 지난달 21일 PㆍJ 부위원장 2명의 공동직무대행 체제로 전환, 위원장 직선제, 조합 예산의 투명성 확보 등 내부개혁에 나섰지만 두 부위원장을 포함해 부장급 간부들마저 잇달아 구속됐다. 특히 박 위원장은 지난달 16일 기자회견에서 사퇴의사를 밝혔지만 당일 바로 체포돼 정상적인 사퇴처리 절차를 밟지 못하고 아직 위원장 신분을 유지하고 있다. 노무공급체제 개선을 추진하고 있는 해양수산부측은 새 집행부 구성 지연으로 구조개선작업이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재우 항만운영과장은 “노무공급체계 개선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고 정부도 개혁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지금은 얘기할 상대가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부산항운노조 평조합원들을 중심으로 항운노조 개혁작업이 추진돼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18일 결성된 ‘부산항운노조 개혁을 위한 모임’(항개모)은 공청회를 개최해 개혁방안을 최종 확정하고 임시총회 소집을 위해 조합원 3분의1에 해당하는 2,970명 이상의 서명을 받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에 대해 기존 집행부측은 정면으로 대응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항운노조 개혁을 둘러싼 진통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