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항 또 마비위기" 긴장 고조

부산항운노조 내달초 파업 찬반투표

부산항운노조가 25일 부산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하고 노사 추가 협상의 진전 여부에 따라 파업을 위한 노조원들의 찬반투표를 오는 7월 초 실시할 계획이다. 부산항운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수송대란에 이어 부산항이 완전 마비될 수도 있어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또 대외신인도 하락으로 동북아 허브 항만의 꿈은 물거품처럼 사라지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 ‘부산항운노조 상용화부두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0일 사측인 부두운영사와 47차 단체교섭 대표자회의를 가졌으나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결렬을 선언한 뒤 막후 교섭을 벌이고 있다. 노사는 상용화부두인 부산항 중앙ㆍ3ㆍ4ㆍ7ㆍ감천중앙 부두 등 5개 일반부두의 부두별 적정인력 산출, 임금인상, 희망퇴직으로 인한 임금보전 문제 등을 협의했으나 의견 차가 워낙 커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허남식 부산시장은 이날 오전 노사 양측 대표들을 만나 원만한 협상 타결을 당부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강부영 부산항만공사 마케팅팀장은 “부산항은 개항 이래 한번도 전면 파업이 없었다”며 “그동안 안정적인 부두 운영이 부산항의 최대 경쟁력이었는데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선사들이 기항지를 중국이나 일본 항만으로 옮겨 동북아 허브 항만 구축은 하루아침에 무너진다”고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노사 간 최대 쟁점은=항운노조 측은 2007년 1월 5개 부두 상용화 과정에서 합의됐던 협약사항을 준수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당시 협약에서 상용화 이전의 근로조건을 보장하기로 합의한 만큼 희망퇴직과 물량증가로 인해 노동 강도가 크게 세진 점을 감안, 노조 측은 이를 임금 등으로 보전해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항운노조 측은 상용화 협상 이후 16개월간 한번의 임금인상도 없었다면서 2007년, 2008년 임금인상분을 반영하고 희망퇴직으로 인한 영업이익을 분배하며 인력도 보강해줄 것 등을 주장하고 있다. 항운노조의 한 간부는 “임금인상도 문제이지만 희망퇴직으로 인한 인원 결손으로 4부두의 경우 한 달에 150여명의 대체인력을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 같은 작업여건도 개선해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반해 부두운영사 측은 2008년 4% 임금인상분을 제외하고는 나머지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2007년 임금의 경우 2006년 도급제 아래서 가장 높은 임금 3개월 평균치를 산출해 반영했고 인력공급 문제는 회사 측의 고유권한이라는 것이다. 또한 희망퇴직으로 발생한 이익금을 보전해달라는 노조의 주장은 터무니없다고 일축하고 있다. 부두운영사 측은 이와 함께 부산신항 개장과 북항 재개발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의 감소로 물량이 계속 떨어지면서 경영악화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한 부두운영사 관계자는 “3부두의 경우 내년 초까지 45%의 컨테이너 화물이 빠지는데다 북항 재개발로 인한 부두 폐쇄로 선사들이 벌써부터 계약을 꺼리고 있다”며 “일부 부두 운영사의 경우 경영악화로 직장폐쇄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노사 협상 전망은=노사는 이날 현재 사업장별로 추가 협상을 진행, 7부두와 감천중앙부두는 잠정 합의를 이뤄냈으나 컨테이너 화물 취급 부두인 중앙ㆍ3ㆍ4부두는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허남식 부산시장은 이날 오전 노사 양측 대표들을 만나 원만한 협상 타결을 당부하고 부산지방해양항만청도 중재 노력을 계속 기울이고 있어 막판 타협이 이뤄질 가능도 배제할 수 없다. 2개 부두에서 잠정 합의가 이뤄진 점을 감안, 나머지 3개 부두에서의 협상도 긍정적으로 진행되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을 일부에서 나타내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노사 입장 차가 커 합의를 이뤄낼지는 아직 미지수다. 이상억 부산항만물류협회 이사장은 “사측에서 희망퇴직으로 인한 임금보전 문제는 특별급 명목으로 얼마간 보전해줄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부산항 경쟁력을 위해 항운노조도 일정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