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BOJ, 추가 양적완화 보류

FOMC 유동성 공급확대 결정 관망후 행동 나설듯

일본중앙은행(BOJ)이 최근 엔화가 초강세를 지속함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양적완화 정책 등을 통한 '엔고 제한'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BOJ는 엔화 강세가 미국 경제 등에 대한 불안감 고조에서 비롯됐다고 판단, 11일 열리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결정을 지켜보기로 한 것으로 관측된다.


BOJ는 10일 이틀간의 금융정책결정회의를 마치고 만장일치로 기존 금융정책을 유지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국채매입 규모를 현행 1조8,000억엔 수준에서 유지키로 하고 기준금리도 0.1%로 동결했다.

관련기사



이와 관련, 노다 요시히코 일본 재무상은 이날 각료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현재의 (엔화) 움직임은 (한쪽으로) 치우친 방향을 따르고 있다"며 "정부는 일본은행과 엔고, 디플레이션 등을 함께 해결하기 위해 어느 때보다 가깝게 협력관계를 맺기 원한다"고 말했다.

당초 BOJ는 이번 회의에서 국채 추가매입 등 유동성 공급을 통한 외환시장 개입방침을 밝힐 것이란 관측이 적지 않았다. 일본은행은 그러나 최근의 엔고 추세가 달러 약세 등 외부조건에 따른 것임을 감안, 독자적인 유동성 공급조치의 효과가 크지 않다고 결론지은 것으로 관측된다. 씨티그룹의 도케 에이지 수석 투자전략가는 "일본은행이 추가로 양적완화 조치를 취해도 FOMC에 의해 묻혀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FOMC가 11일 경기부양을 위한 유동성 공급확대 방침을 발표하면 일본은행도 행동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RBS증권의 니시오카 준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FOMC의 (양적완화 조치) 발표가 엔화 상승폭을 더 키우고 주가 급락도 촉발한다면 일본은행은 긴급회의를 소집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 일본은행은 지난해 11월 말 엔화가 84엔대까지 치솟자 12월 1일 임시회의를 소집해 총 10조엔의 자금을 긴급투입하는 유동성 공급조치를 단행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