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UAE에 '한국형 테크노파크' 만든다

아랍에미리트(UAE)에 한국형 벤처 타운인 테크노파크가 건설된다. 30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최경환 장관은 지난 25~28일 방한한 셰이크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하얀 아부다비 왕세자와 한국형 테크노파크를 UAE에 전수하는 방안을 협의했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무함마드 왕세자가 중소기업 육성을 통한 고용창출에 큰 관심을 보였고 이에 대해 최 장관이 중소기업보다 UAE 현실에 맞춰 정보기술(IT) 분야를 점 지원하는 것이 고용창출에 더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며 "왕세자가 큰 관심을 보여 UAE에 한국형 테크노파크 노하우를 전수하는 방안을 실무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원전 수주 이후 경제협력의 일환으로 UAE에 한국형 테크노파크를 건설하는 큰 틀의 방향은 합의가 이뤄진 상황"이라며 "다만 자본조달 방법과 구체적으로 어떤 모델을 적용할지는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UAE는 최근 석유 외 분야로 산업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지난해 우리나라가 원자력 발전소를 수주하는 과정에서도 IT 등 분야에서 경제협력이 주요한 고려대상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테크노파크는 지역 벤처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기업과 대학ㆍ연구소ㆍ행정기관 등이 함께 모인 산업기술단지로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997년 시범사업을 시작한 후 경기ㆍ송도ㆍ대구 등 모두 17개 지역에서 운영 중이다. 특히 테크노파크는 IT 산업 전반에 대한 경험이 없는 상황에서 단독으로 운영하기에 무리가 있는 만큼 초기 단계에서는 테크노파크 운영에 한국 정부가 상당히 관여하는 것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UAE의 경우 IT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경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는 테크노파크 운영에 우리가 관여할 부분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