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준비된 기술 인재가 경쟁력"… 계약학과 2년새 77% 급증

[기업 맞춤형 인재 육성 활발]<br>신입사원 교육 낭비 줄이고 우수인재 바로 현장투입 가능<br>고교·대학·대학원들서도 취업률 등 높아져 긍정적<br>기업 세혜택등인센티브로 채용 조건형 협력 늘려야



기업들이 맞춤형 인재 양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은 대학 등 학교교육과 산업현장의 괴리가 그만큼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정규직 취업희망자들은 차고 넘쳐나는데 쓸 만한 인재가 많지 않은 인력수급 불일치를 근원적으로 개선해 바로 쓸 수 있는 준비된 기술인재를 양성하겠다는 전략이다. 실제 기업은 "신입사원을 뽑아 가르치는 데 최소 2~3년은 걸린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신입사원을 뽑은 뒤 허비하는 2~3년의 시간과 자원 낭비를 최소화해야 기업 역량을 한층 강화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취업률을 높이려는 고교ㆍ대학ㆍ대학원 역시 더욱 적극적으로 기업 입맛에 맞는 인재 육성에 나서면서 학원가에 새바람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계약학과 2년 새 77% 늘어=대학과 기업이 함께 만드는 계약학과는 지난 2년 새 77%나 늘었다. 지난 2008년 채용조건형 3개교 4개학과, 재교육형 43개교 148개 학과이던 계약학과가 지난해 4월 현재 채용조건형 6개교 17개학과, 재교육형 68개교 252개 학과로 늘어났다. 기업 입장에서는 자신의 수요에 맞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고 대학은 취업률 제고는 물론 우수 학생도 확보할 수 있는 '누이 좋고 매부 좋은' 형태여서 계약학과 개설은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로는 삼성전자와 연계한 성균관대의 반도체시스템공학전공이 대표적이다. 전공 학생들은 등록금 전액 지원 및 생활비 보조, 삼성전자 취업혜택이 주어진다. 지난 2006년 첫 신입생을 받아 지난해 2월 총 12명의 졸업생 가운데 5명이 삼성전자 DS부문(옛 반도체총괄)에 입사했다. 나머지 7명도 석사과정에 진학했고 이들 역시 학위 취득 후 삼성전자 입사가 확정돼 있다. 한양대도 하이닉스반도체와 연계해 나노반도체공학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매년 20명의 석ㆍ박사과정 학생을 뽑아 전액 장학금과 생활비를 보조하고 하이닉스반도체가 해당 전공 지도교수에게 의뢰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재교육형의 경우 지방대가 많이 개설하고 있다. 2005년 LG전자와 협약을 맺고 냉동공조에너지전공을 개설한 부산대는 현재 12개의 재교육형 계약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최수형 부산대 경영학과 교수(산학사업부장)는 "재교육형 계약학과는 단순히 교육만 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체 직원이 교수들과 함께 연구하면서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애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실전형 인재, 마이스터고에도 러브콜=삼성전자는 전국 마이스터고 1학년 전체 정원(3600명)의 3∼5%인 100∼200명으로 선발 결과에 따라 매년 규모를 늘려가기로 했다. 현대중공업은 울산 마이스터고, 군산 기계공고 등 3개 고등학교와 협약을 맺고 현장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교육을 마친 학생에게 현대중공업 채용 우선권이 주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효성도 지난해 9월 에너지 분야의 유일한 마이스터고교인 수도전기공업고와 산학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지금까지 1,000개가 넘는 기업이 전국 21개 마이스터고와 산학협력을 체결했다. 마이스터고는 전국에 총 21곳이 있으며 모바일ㆍ반도체ㆍ에너지ㆍ기계 등 다양한 분야의 예비 명장을 길러내고 있다. ◇채용조건형 산학협력 늘려야=계약학과는 대학교육과 기업 수요 간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한 유력한 방안으로 꼽힌다. 계약학과 설치가 늘고 있지만 채용조건형보다 재교육형이 많은 것이 한계로 지적된다. 재교육형 계약학과가 늘어난 이유는 정부가 대학 교육비의 100%를 기업이 부담하도록 하던 것을 50~100% 범위 내에서 비율을 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연구개발(R&D) 비용으로 인정해 세액공제율을 확대하는 등 부담을 완화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채용형 계약학과는 '가뭄에 콩 나듯'개설되고 있다. 학생 장학금이나 생활비 보조, 운영비 지원, 교수 연구 프로젝트비 등 계약학과 운영에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은 것이 기업에는 부담이다. 세액공제를 더욱 확대하는 등 과감한 인센티브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대학들이 채용형 계약학과를 개설하고 싶어도 총 입학정원에 묶여 추가 인원(TO)을 배정하기 쉽지 않은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대학들은 정원을 마음대로 늘릴 수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기존 학과의 정원을 돌려 계약학과 몫으로 배정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