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의도 나침반] 금융장세

주가는 금리가 내려가든가 아니면 기업수익이 늘어날 때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이지만 금리 하락이 크지 않고 경기가 신통치 않은데도 불구하고 주가는 상승추세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를 두고 흔히 금융장세라고 부르는데 이처럼 `불경기하의 주가 상승`이 가능한 이유는 주가의 경기 선행성이라는 측면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값이 싼 주식에 대한 투자자들의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이기도 하다. 고정금리가 이렇게 낮은 수준이라면 차라리 주식을 사는 게 낫겠다는 투자자들이 늘면서 주가는 상승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추가적인 금리하락이 억제되는 가운데 풍부한 시중유동성이 증시로 몰리면서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데 최근 건설, 금융주들이 한 차례 강세를 보였다는 점도 이 같은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홍준석,이철균기자 fusioncj@sed.co.kr>

관련기사



이철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