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 "北미사일 발사 사태 책임져야"

"도발적 행위 중단…6자회담 즉각 복귀해야"

서주석(徐柱錫)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수석은 5일북한 미사일 발사와 관련, "북한은 이번 발사로 야기되는 사태에 대해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며 "이와 같은 도발적 행위를 중단하고 6자회담에 즉각 복귀해 대화로 문제를 풀고 국제적인 비확산 노력에 부응해 나갈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서 수석은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발표한 정부성명을 통해 "우리의 경고에도불구, 북한이 발사를 강행한 것은 국제사회의 대북강경론 입지를 강화함으로써 북한의 국제적 고립을 심화시킴은 물론 동북아 군비증강의 빌미를 제공함으로써 역내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고, 남북한 관계에도 우리국민의 대북정서를 악화시키는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현명치 못한 행위로서 심각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서 수석은 "우리는 관련국들과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한 구체적 대응책을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 수석은 정부의 북한 미사일 발사시점 인지 시점에 대해 "미사일 발사 직후에정보당국이 바로 청와대로 보고해서 인지했고, 상부보고 조치했다"고 밝혔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이날 오전 5시께 대포동 2호 미사일이 발사된 직후 관련 사항을 안보실을 통해 보고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대북지원, 대북경협 등에 대한 정부의 입장변화' 여부 등 후속 대응책에대해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남북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고, 구체적 조치는 상황을 보면서 여러 협의를 통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과 일본이 유엔안보리 제재문제를 거론하고 있는데 대한 정부 입장에대해 "현재 이와 관련한 유엔안보리 논의가 추진중인 것으로 알지만, 이 같은 논의없이 우방간 협의를 통해 계속 협조해 가겠다"고 말했다. 서 수석은 이어 "미국에 있는 송민순 안보실장이 라이스 국무장관, 해들리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등과 바로 협의하고 있고, 오늘중 한미 외교장관이 통화를 하는등 관련국들과 대책을 바로 협의할 것"이라며 "이번 발사 이전에도 여러 차례 관련국과 협의를 통해 대책을 숙의한 바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