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대포통장, 우체국·농협 막으니 시중은행으로

작년 적발 건수 16.3%나 늘어

다시 급증세 …'풍선효과' 뚜렷

금융사기의 필수 도구인 대포통장 적발 건수가 다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금융감독원이 우체국이나 농협은행의 대포통장에 대한 특별 단속에 돌입한 후 새마을 금고나 다른 시중은행의 대포통장이 급속히 늘어나는 등 '풍선효과'가 뚜렷이 보이고 있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피싱사기 등에 사용됐다가 신고 접수된 대포통장은 4만4,705건으로 지난 2013년(3만8,437건)보다 16.3%나 늘었다. 대출사기 관련 건을 포함하면 대포통장은 연간 8만4,000건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대포통장 증감률은 2013년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22.1%로 줄어드는 듯했으나 2013년 하반기(78.1%), 지난해 상반기(14.2%)와 하반기(17.9%)에는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의 가장 큰 특징은 종전의 농협단위조합·우체국·증권사에서 주로 생기던 대포통장이 은행권(농협은행 제외)과 새마을 금고 등으로 회귀하고 있다는 점이다.

관련기사



전체 대포통장 중 은행권의 비중이 2013년 41.7%에서 지난해 상반기 36.1%, 하반기 60.9%로 크게 늘었다. 새마을금고도 2013년 4.5%, 2014년 상반기 6.7%, 하반기 14.1%로 늘고 있다.

반면에 농협단위조합·우체국·증권사의 비중은 같은 기간 53.5%에서 21.3%까지 감소했다. 이주형 금감원 서민금융지원국장은 "농협·우체국·증권사에 대한 감독·지도 강화 이후 여타 은행권으로 풍선효과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별로는 농협은행의 대포통장 비중이 2013년 17.8%에서 지난해 상반기 12.9%, 하반기 2.5%로 크게 감소해 눈길을 끌었다. 나머지 은행 비중은 2013년 23.9%에서 지난해 하반기 58.4%로 급증했다.

사기범들은 인터넷게시판·카페 등을 통해 건당 약 120만원으로 통장을 매입하거나 저리대출·취업 등을 빙자해 통장을 가로채는 수법, 개인신용정보를 매입해 대포 통장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은행·새마을금고연합회에 개선책을 마련하고 대포통장 근절대책의 이행상황을 자체 점검하도록 지도했다. 금감원은 "대출·취업 등을 이유로 통장양도를 요구하는 것은 사기인 만큼 응하지 말고 통장을 건넸더라도 즉시 지급정지를 요청하면 추가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당부했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