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車 범용기술 경쟁력 韓·中 2010년께 대등"

KIET 연구위원 전망

중국이 오는 2010년에 세계 최대의 자동차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자동차 범용기술 분야에서 우리나라와 대등한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항구 산업연구원(KIET) 연구위원은 14일 KIET와 중국사회과학원 공업경영연구소(IIE)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국 및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협력방안을 주제로 공동 개최한 세미나에서 중국의 자동차산업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이들 연구원은 세미나에서 자동차ㆍ가전ㆍ산업구조ㆍ기계 등 4개 분야의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 연구위원은 “중국이 글로벌 부품 공급 기지와 연구개발 기지로 급성장하고 있어 2010년께는 세계 최대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2015년에는 일부 미래형 자동차의 개발과 상용화에서 비교우위를 갖게 되며 2020년께는 세계 최대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자동차 분야에서 한국과 중국의 경쟁력 격차도 점차 좁혀지고 있다”며 “2010년에는 범용기술 분야의 한중 경쟁력이 대등한 수준을 나타내고 2015년께는 첨단기술 분야와 품질의 경쟁력 격차도 축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현재 자동차 분야에서 한국의 대중(對中) 수출우위가 지속되고 있지만 점차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할 전망”이라며 “중장기적으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하면서 세계시장 점유율을 공동으로 확대하고 중국 자동차산업의 공급과잉으로 야기될 수 있는 세계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는 공동의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