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金대통령 노벨평화상수상] 세계 생중계속 25분간 우리말 연설

[金대통령 노벨평화상수상] 세계 생중계속 25분간 우리말 연설 "첫번째 떨어지는 물방울이 가장 용감하다" 군나르 베르게 노벨위원회 위원장이 10일 저녁(한국시간) 김대중 대통령이 한국과 아시아의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 그간의 노력 및 한반도 평화를 위한 공헌을 인정받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게 됐음을 선포하면서 인용한 시구(詩句)이다. 5번의 죽을 고비를 넘기고, 6년간 투옥됐으며, 40년간 망명과 연금 생활을 했던김 대통령이 오랜 고통과 저항의 보상으로 2000년 평화의 메달을 목에 걸게 됐음을 단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오슬로 시청 메인홀에서 열린 이날 시상식에는 김 대통령의 가족 10명과 국내초청인사 42명, 하랄드 5세 국왕, 호콘 왕세자, 옌스 스톨텐베르그 총리 등 노르웨이 최고위층 인사 대부분과 그루할렌 부룬트란트 WHO(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 로빈찬들러 듀크 노르웨이 주재 미국대사와 중국, 러시아, 영국, 독일, 일본 대사 등 각국 대표를 포함, 1천여명의 인사가 자리를 메운 가운데 성대하게 거행됐다. 김 대통령은 오후 8시56분 부인 이희호 여사와 함께 시상식장 입구에 도착, 룬데스타드 노벨위원회 사무국장의 영접을 받은 뒤 스톨셋 노벨위 부위원장의 안내로 시상식장에 입장, 노벨위원 6명과 함께 자리에 앉았다. 김 대통령이 병사 2명의 팡파르속에 식장에 입장하자 참석자들은 모두 기립해 박수를 쳤으며, 노르웨이 출신 바이올리니스트인 바라트 두에와 비올라 연주가 정순미씨 부부가 기악곡 '렌토'를 연주했다. 이어 베르게 위원장이 연단에 나와 김 대통령이 금년도 노벨평화상 수상자임을 선포하면서, 김 대통령이 수상자로 결정된 배경과 김 대통령의 업적을 20분가량 발표했다. 베르게 위원장은 발표문에서 노르웨이 시인인 군나르 롤드크밤의 시 '마지막 한방울'을 인용하면서 김 대통령이 한국의 민주화와 한반도 평화통일 노력의 선구자임을 강조했고, 김 대통령을 넬슨 만델라 남아공 전 대통령, 구 소련의 저항지식인의 상징인 안드레이 사하로프 박사와 공통점이 많은 인물이라고 칭송했다. 그가 발표를 끝낸 뒤 김 대통령에게 평화 메달과 디플로마(증서)를 수여하자 다시 참석자들은 기립박수로 축하했고, 김 대통령은 연단 중앙의 노벨상 마크가 그려진 곳에 서서 오른손에 메달, 왼손에 디플로마를 들고 베르게 위원장과 함께 기념촬영을 했다. 시상이 끝난 뒤 한국이 낳은 세계적 소프라노 가수 조수미씨가 수상을 축하하며 아리디티의 '입맞춤', 안정준의 '아리 아리랑', 그리그의 '이히 리베 디히' 등 세곡을 노래했고, 이어 베르게 위원장은 김 대통령에게 수상연설을 요청했다. 김 대통령은 미리 준비한 연설문을 25분간 한국어로 낭독했으며, 연설은 노르웨이어와 영어로 동시 통역됐고 미국 CNN을 통해 세계 각국에 중계됐다. 김 대통령이 연설을 마치자 참석자들은 다시 기립박수를 보냈다. 이 연설은 출판 및 번역 권한을 포함해 전세계에 갖게될 모든 권리와 이익을 노벨위원회에 위임한 것으로 일본 '이와나미(岩波) 출판사'가 번역해 발행할 예정이다. 이어 바라트 두에-정순미 부부의 '빠사 카글리아'(불꽃같은 열정) 기악연주 속에 시상식은 종료됐고, 김 대통령은 하랄드 5세 국왕과 작별인사를 한 뒤 함께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김 대통령이 시상식 참석을 위해 숙소 호텔에서 나올 때와 시상식이 끝난 후 김대통령이 베르게 위원장과 함께 차량편으로 1㎞ 가량 떨어진 숙소호텔로 돌아올 때 두 도로변의 교포와 오슬로 시민 수천명은 태극기와 노르웨이기를 흔들며 김 대통령의 수상을 축하했다. /오슬로=황인선기자 his@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