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차보험 손해율 악화에 폭우·실적 부진까지 손보사 첩첩산중


손해보험사들이 점점 궁지로 내몰리고 있다.

자동차 보험에서 적자 폭이 커지는 상황에서 폭우까지 겹친데다 저금리와 보험료 단속으로 자산운용과 장기보험에서 수익은 예전만 못하기 때문이다. 보험료 인상 등 돌파구를 마련해야 하지만 손보사들은 "정권 출범 초기에 가능하겠느냐"며 금융당국의 눈치만 살피는 천수답 경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6일 손보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자동차 보험의 손해율이 크게 악화되고 있다.


거의 모든 보험사의 손해율이 적정 수준인 77~78%를 넘기는 상황이다. 현대해상의 경우 올 들어 가장 손해율이 낮았던 지난 3월에도 82.4%나 됐고 비교적 안정적인 4~6월에도 84% 안팎을 기록했다. LIG손보의 월별 손해율도 80% 중후반대를 찍었고 악사다이렉트는 2월 91.9%까지 치솟았다. 이런 상황에서 중부지방 폭우는 악화 중인 손해율에 기름을 끼얹는 격이 되고 있다. 일례로 15일 삼상화재의 긴급출동건수는 1만4,381건으로 전날 3,140건의 4.5배로 급증했다. 8~9월 태풍까지 발생하면 자동차보험 적자폭은 2012회계연도의 6,000억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우려 섞인 관측마저 나온다.

관련기사



제 살 깎아 먹기 경쟁에 몰두해 마일리지로 대변되는 각종 보험료 할인 정책을 쏟아낸 결과라는 자조적인 목소리도 들린다. 한 중형사 관계자는 "이런 상황을 업계가 자초한 측면이 있어 어디에다 하소연하기도 애매하다"고 말했다.

문제는 다른 부분의 수익도 줄어 자동차보험의 구멍 메우기가 만만찮다는 점이다.

통상 손보사의 사업비중(매출기준)은 ▦자동차보험 20~25% ▦화재 등 일반보험 10~15% ▦장기보험 60~70%인데 장기보험의 사업성도 보험료 동결 등으로 나빠지고 있다. 국내 손보사의 올 3월 말 기준 영업이익률은 2.78%로 2년 전 4.08%에서 1.3%포인트나 하락했다. 같은 기간 자산운용수익률도 5.12%에서 4.38%로 깎였다. 주요 5개 손보사의 올 4~6월 순이익 역시 지난해 동기 대비 20% 남짓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보험료를 올려야 하지만 마음대로 못하는 입장"이라며 "실적이 크게 떨어져야 보험료도 올릴 수 있는 환경이 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넋두리했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