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대선후보는 공명선거, 국민은 바른 선택

제17대 대통령선거 후보등록이 끝나고 오늘부터 공식 선거운동에 돌입했다. 후보등록자는 지금까지 최다였던 13대와 14대의 8명을 넘어선 역대 최다다. 한마디로 여다야다(與多野多)다. 투표 20여일을 남겨놓고 후보자는 많은데도 정책은 보이지 않고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것이 이번 선거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선진국 진입 여부가 다음 정권에 달렸다는 점에서 후보의 공명선거와 함께 국민의 바른 선택이 절실히 요구된다. 후보들은 오늘부터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나서지만 국민의 관심은 검찰 쪽에 가 있다. 오는 12월5일께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 ‘BBK 사건‘ 수사 결과에 따라 대선판도가 크게 출렁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대선 때만 되면 ‘검찰 수사’가 선거의 중심이 되는 것은 한국 정치의 불행이다. 1997년과 2002년에도 그랬다. 이러다 보니 흑색선전과 비방 등 네거티브가 선거판을 좌우했는데 이번만은 이런 일이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 이번 선거부터라도 각 후보는 법의 테두리 안에서 정책으로 선의의 경쟁을 하는 성숙된 모습을 보여야 한다. 무엇보다 후보들이 등록할 때의 초심을 잊어서는 안 된다. BBK 사건은 검찰에 맡겨두고 정책을 국민에게 알리는 데 주력해야 한다. 과거처럼 지역감정을 부추기고 흑색선전으로 갈등과 분열을 유발하는 선거운동은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받게 된다. 국민의 의식수준이 과거와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국민도 모든 것이 자신의 한 표에 달렸다는 유권자의식을 가져야 한다. 이번 선거부터 선거권자가 19세로 낮춰지고 인터넷 선거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흑색선전 등 네거티브가 난무할 우려가 크다. 이런 때일수록 국민의 바른 선택이 요구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의 담화처럼 ‘12월19일은 한국의 미래를 결정하는 날’이라는 인식을 갖고 국가를 위한 선택이 어떠한 것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그만큼 선택기준도 달라져야 한다. 어느 후보의 정책이 실현 가능하고 불가능한지, 지연ㆍ혈연ㆍ학연을 동원하는 후보가 누구인지, 후보의 능력은 어떠한지 꼼꼼히 따지고 불법 선거운동을 하는 후보나 정당을 단호히 심판해야 한다. 최선의 지도자 선택을 위한 주인의식이 절실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