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74세 2억5,400만원 아파트 거주

주택연금 출시 한달…신청자 평균 모습

‘수도권의 2억5,400만원짜리 아파트에 살면서 매월 105만원의 노후생활비를 받는 74세 노인.’ 지난 7월12일 선보인 주택연금(역모기지) 가입 신청자들의 평균적인 모습이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주택연금 출시 한달째인 13일까지 가입신청서를 낸 사람은 모두 181명으로 이 가운데 보증심사를 거쳐 주택연금을 받기 시작한 고객은 55명에 이른다고 14일 밝혔다. 가입 신청자들의 평균 연령은 74세(부부의 경우 낮은 연령 기준)로 가입 기준 연령(65세)보다 9살이나 많았다. 70대가 64%로 가장 많았고 60대는 22.7%, 80대가 13.3%였다. 이들이 매월 받게 될 연금은 평균 104만7,000원으로 50만~100만원이 전체의 35.9%(65명)로 가장 많았고 ▦100만~150만원 22.7%(41명) ▦50만원 미만 18.8%(34명) 등의 순이었다. 또 200만~300만원의 연금 수령자도 9.9%(18명)였으며 300만원 이상의 고액 연금 수령자도 있었다. 신청자들이 담보로 내놓은 주택의 가격은 평균 2억5,400만원이었다. 집값은 1억~2억원이 26.5%(48건)로 가장 많았고 ▦2억~3억원 21.5%(39건) ▦3억~4억원 17.7%(32건) 등이었다. 1억원에 못 미치는 주택은 17.7%(32건)였으며 5억~6억원의 고가 주택도 9.4%(17건)에 달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155건으로 전체 신청 건수의 85.6%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단독주택 11.1%(20건) ▦다세대주택 2.2%(4건) ▦연립주택 1.1%(2건) 등이었다. 집의 크기는 국민주택규모(85㎡ 이하)가 79.9%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담보주택의 소재지는 서울과 인천ㆍ수원 등 수도권에 74%가 집중돼 있었다. 주택금융공사의 한 관계자는 “주택연금 대상 주택을 6억원 이하로 제한하기 때문에 집값이 비싼 강남ㆍ서초구는 단 한건의 신청 사례도 없는 반면 노원구 등 주택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강북 및 외곽 지역에서 신청한 사람들이 많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나이가 많고 주택 가격이 비쌀수록 월 수령액이 많도록 설계됐기 때문에 신청자에 따라 수령액의 편차가 크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