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내 금융기업 10곳중 8곳 "위기 해소 2~3년 걸릴것"

대한상의 180곳 설문

국내 금융기업 중 10곳 중 8곳 이상은 세계 금융위기가 해소되는 데 소요되는 기간을 2∼3년 정도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9일 국내 금융업체 18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해 내놓은 설문 결과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가 풀리는 데 걸리는 시간을 묻는 질문에 ‘약 2년’ 또는 ‘약 3년’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전체의 83.9%였다. ‘약 1년’이라는 응답은 11.7%, ‘5년 이상’으로 답한 기업은 4.4%였다. 특히 조사대상 업체들의 88.9%는 이번 금융위기로 미국 경제가 일본처럼 장기불황을 겪을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그 이유로 ‘긴축재정 등으로 인한 경기침체 가속화(30.6%)’ ‘지속적 세계경제 침체(25.6%)’ ‘신규투자 감소로 인한 산업생산 저하(25.0%)’ 등을 들었다. 금융사들은 국내 경제전망과 관련해서는 51.7%가 이번 금융위기로 국내 경기침체도 장기화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 이번 사태로 회사 재무건전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고 답한 기업이 56.5%에 달했고 각종 투자금융(PF) 관련 부실화가 있다는 업체도 22.4%나 됐다. 해외 외환차입에 애로가 있다고 호소한 기업은 14.7%였다. 금융위기가 장기화될 경우 걱정되는 부분을 묻는 질문에는 33.3%의 기업이 ‘일부 자산의 인출요구 증가’라고 답했고 ‘PF금융 부실 증가(26.1%)’ ‘외화유동성 부족(21.7%)’ ‘기타 환차손 피해(10.5%)’ 등의 대답이 뒤를 이었다. 가장 시급히 확충해야 할 역량으로는 ‘금융리스크 관리능력 확충(50.5%)’ ‘재무건전성 강화(24.4%)’ ‘금융 전문인력 육성(12.8%)’ ‘국제금융동향 적시파악(12.2%)’ 등을 꼽았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금융불안 해소를 위한 정책과제에 대해서는 ‘금리 및 환율의 안정’을 꼽은 경우가 66.7%로 가장 많았고 ‘세계금융 공조체체 구축(12.8%)’ ‘외화공급 확대(10.0%)’ 등의 대답도 나왔다. 대한상의의 한 관계자는 “미국발 금융위기로 국내 금융업계들이 금융부실 연체 발생과 실물경제 장기 침체 등을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불안해소와 금융규제 완화를 위해 정부가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