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유엔사-北 실무접촉 무산

북측 일방적 연기요청으로

천안함 사태 이후 처음으로 열릴 예정이던 유엔사 군사정전위원회와 북한군 판문점군사대표부의 대령급 실무접촉이 북측의 일방적인 연기 요청으로 13일 무산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이날 "유엔사 실무단이 회담 장소로 이미 출발한 오전9시께 북한군이 행정적인 이유로 연기를 요청함에 따라 회담이 무산됐다"고 밝혔다. 앞서 유엔사 군정위는 지난 6월26일 천안함 피격사건을 논의하기 위해 북측 판문점군사대표부에 영관급 실무회담을 갖자는 제안을 했고 북한군이 이 제안을 수용, "13일 오전10시에 대좌급 실무접촉을 하자"고 밝혔었다. 대북 전문가들은 북측이 천안함 피격사건에 대한 입장을 정리할 시간이 필요했을 것이라는 관측과 함께 천안함 사고 이후 첫 군사회담인 만큼 북한이 주도권을 갖기 위해 의도적으로 회담을 연기한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백학순 세종연구원 남북관계연구실장은 "북한이 북미 접촉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미국 측의 반응을 보기 위해 전략적으로 회담을 연기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천안함 사건에 대한 북한 내부의 입장 정리가 마무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북측이 실무회담을 연기하기는 했으나 전략적인 의도가 있는 것 같다. 미국 측의 입장을 지켜본 뒤 조만간 다시 접촉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