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국민 있고 난 후 정치 있는 것"

주교 서품 40주년 특별대담 김수환 추기경


김수환(84`) 추기경이 여야 정치인들에게 국민을 위한 정치를 펼칠 것을 당부했다. 또 영화 ‘다빈치 코드’ 등 예수의 신성을 부정하는 대중문화의 폐해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김 추기경은 주교 수품 40주년을 맞아 가톨릭신문사 사장 이창영 신부와 지난 2일 서울 혜화동 집무실에서 가진 특별대담을 통해 정치ㆍ문화 등 사회 제반 문제에 대해 사회원로로서 당부의 말을 내놓았다. 5ㆍ31 지방선거가 끝난 것과 관련해 김 추기경은 “국민이 있은 후에야 정치가 있다”면서 “말로만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할 것이 아니라 국민들이 ‘우리의 말을 듣고 새기는구나’라고 느낄 수 있도록 열심히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인도네시아 국민들이 지진 참사로 고통받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지방선거와 월드컵 등으로 이웃의 고통에 관심을 덜 기울이는 듯하다”는 이 신부의 말에 김 추기경은 “인도네시아 국민들은 같은 아시아인 형제, 같은 믿음을 가진 형제들”이라며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정말 간곡히 부탁한다”고 말했다. 또 김 추기경은 “최근 영화 및 소설 ‘다빈치 코드’ 등이 예수님의 신성을 부인하는 등 신앙생활에 해악을 끼치는 대중문화들의 영향이 염려된다”면서 “복음서는 모두 예수께서 하느님의 아들임을 증명하기 위해 쓰여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