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ETF 투자는 길게 보세요"

상장지수펀드(ETF) 투자시 2년 이상 장기 투자를 하게 되면 한국 증시를 대표하는 핵심 우량주들보다도 주가변동에 따른 위험이 낮을 뿐 아니라 수익률도 높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19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시장 전체 주가지수에 투자하는 ETF인 코덱스200,코세프200, 코덱스 KRX100 등 3개 ETF상품과 6개 대형 우량주에 각각 지난 2003년말과 지난해 말 투자했다고 가정한 뒤 18일 종가기준 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지난해 말 투자한 경우 ETF의 수익률이 우량주 평균에 뒤졌으나 2003년 말 투자분에서는ETF의 수익률이 우량주 평균수익률을 압도했다. 2005년 말 거치식으로 투자한 코덱스200의 수익률은 -10.83%, 코세프200과 코덱스 KRX100 수익률은 각각 -11.36%, -13.04%인데 비해 같은 시점에 삼성전자와 국민은행, 한국전력,POSCO,SK텔레콤,현대차 등 6개 핵심 우량주의 평균 수익률은 -5.44%로,개별 종목 직접투자가 '판정승'을 거뒀다. 그러나 2003년 말 투자(거치식)한 경우 당시 상품이 없었던 코덱스 KRX100을 제외한 코덱스200과 코세프200의 수익률은 각각 50.98%, 49.81%로 이들 6개 종목의 평균수익률(38.34%)를 크게 앞섰다. 또 6개 개별종목 가운데 이 수익률을 앞선 종목은 국민은행(64.84%)과 한국전력(59.58%) 등 2개에 그쳤다. 매월말 적립식으로 투자한 것으로 가정한 경우에도 2003년말 투자시 코덱스200과 코세프200의 수익률은 각각 42.14%, 41.42%로 6개 대표주 평균수익률 36.52%를 앞질렀다. 특히 거치식 투자에서는 단기 투자시 개별 우량주 분산투자가 ETF 수익률이 크게 앞선 것과 달리, 적립식으로 투자한 경우에는 코덱스200과 코스피200의 수익률이각각 -9.51%, -9.90%로 6개 종목 평균수익률 -9.52%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앞선 것으로 분석됐다. 거래소 관계자는 이런 현상에 대해 "ETF 투자는 1주만 투자해도 200개 종목에 분산 투자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며 "ETF의 변동성이 개별 우량주보다 크게 낮기 때문에 합리적 투자의사결정에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