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재영의 강한 남성 만들기] 중세는 '관음증 환자'의 천국

[김재영의 강한 남성 만들기] 중세는 '관음증 환자'의 천국 퍼스트비뇨기과원장 drkim@drim2u.co.kr 관련기사 • [김재영의 강한남성 만들기] 전체 보기 • 표피 봉합하는 '특수포경술' 굵기 확대 효과 • '낯선 환경'도 좋은 흥분제 • '로리타 콤플렉스'와 '쇼타콘 콤플렉스' • 정체 불명 최음제 부작용 위험천만 • 17세기 파리 화려한 화장은 물 부족 탓 • 방탕한 서구형 파티보다 전통의 契會 즐기자 • 출산율 높이려면 男 성기능도 향상돼야 • 화목한 가정 원한다면 한 우물만 파라 • 독특한 체취는 섹스의 필요충분조건 • 공주병·변강쇠병 공통점은 '과대망상' • 지략 만큼 뛰어났던 조조의 방중술 • 섹스도 '아는 만큼 잘한다' • 물침대 원조는 중국 전통 침실의 그네 • '색다른 목욕'은 부부 금실의 '비타민' • 성매매 단속 강화해도 줄지않는 성병 • 佛 여배우, 20여년간 1만 6,000명과 관계 • 클레오파트라도 애용한 맥주 화장법 • 적당한 음주는 최음제…과하면 발기부전 • 건전한 肉談은 부부생활의 활력소 • 중세 유럽 온천장은 '광란의 소굴' • 성기를 바치고 권력의 음지를 지켜온 내시 • '누드 올림픽' 뺨쳤던 '기생 운동회' • 간택되지 못한 궁녀들 '은밀한 성' 즐겨 인터넷을 통해 유포되는 몰래카메라 피해의 대부분이 ‘화장실 몰카’라고 한다. 이른바 야동 사이트마다 OO화장실이라고 이름 붙인 몰카들이 연이어 올라온다고 한다. 해서 일부 대학에서는 여자 화장실마다 비상벨을 설치했다고 하는데, 치한을 잡으려는 고육지책이라고 한다. 혼자만의 은밀한 공간에 카메라를 들이대는 파렴치한 욕구는 관음증에서 기인한 것인데, 타임머신이라도 발명해 지독한 관음증 환자들을 중세 유럽으로 추방하고 싶다. 그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여성들의 배설 장면을 질리도록 감상할 수 있는 시대였기 때문이다. 상수도 시설은 물론이고, 화장실이 없었던 중세 유럽에서는 서민들은 아무 곳에서나 볼일을 보았으며, 귀부인들은 ‘뚫린 의자’라는 이동식 변기를 사용했다. 해서 중세 유럽의 궁궐은 물론이고 대도시의 거리에도 오물이 넘쳐났으니, 이를 피하기 위해 고안된 신발이 하이힐이다. 즉, 거리의 모든 바닥이 대소변으로 질펀하여 옷을 보호하기 위해 굽을 높인 것이 바로 하이힐이다. 귀부인들이 사용한 뚫린 의자는 말 그대로 의자의 엉덩이를 걸치는 가운데 부분을 뚫고 그 밑에 가죽으로 서랍을 단 의자였다. 따라서 귀부인들은 배설 충동을 느끼면 치마를 걷어 올리고 뚫린 의자에 앉자 볼일을 보았는데, 실내에 남성이 있어도 전혀 개의치 않고 허연 엉덩이와 사타구니를 드러냈다. 따라서 남성들은 귀부인의 배설 장면을 여실히 감상(?)할 수 있었는데, 뚫린 의자는 비록 볼일을 보는 용도의 의자였지만 장인들이 수공으로 나무를 조각하고, 벨벳으로 쿠션을 넣어서 제작한 고가의 가구였다. 연회나 행사가 자주 벌어지는 궁정에는 수 백 개의 뚫린 의자를 방마다 배치해 놓았는데, 18세기에 들어서서야 뚫린 의자가 남들의 시선을 차단하는 곳으로 옮겨갔다고 한다. 그러므로 17세기까지 유럽의 남성들은 대다수 귀부인들의 신체 특성을 목도하고 기억할 수 있었으니, 점있는 엉덩이, 큰 엉덩이가 등의 별명으로 불렸다고 한다. 해서 일부 여인들은 일부러 자신의 풍만한 엉덩이나 매력있는 사타구니를 공개하기 위해 요의를 느끼지 않음에도 뚫린 의자로 향해 치마를 걷어 올려 남성들을 유혹하기도 했다. 한편, 동양에서는 이동식 변기를 사용한 계층은 왕에 한정되었는데, 이를 매화틀이라 했다. 왕이 매화틀에 배설을 하면 궁중의 어의들이 소변이나 변의 색깔로 건강상태를 체크했는데, 왕이 병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직접 먹어 보아 원인을 찾아내기도 했다. 아무튼 수치스러움을 느끼는 배설 장면을 몰래 촬영하는 몰카족을 하루속히 근절시키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터인데, 관음증은 다른 사람의 성교 장면이나 성기를 몰래 보면서 성적인 만족을 느끼는 성도착증이다. 그러므로 아내가 있음에도 자위행위가 잦거나, 포르노를 보며 성적 욕구를 해소하는 빈도가 높고 성기능에 다소의 장애가 있다면 속히 전문의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 입력시간 : 2007/12/26 10:3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