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가경쟁력 대상] 지식경제부 장관상 '현대증권'

위탁영업·자산운용 부문 시장 지배력 높여

최경수 현대증권 사장

현대증권은 금융시장의 급격한 변화에 오히려 강한 면모를 보여주며 지난 1962년 창립 이후 48년 동안 한국 금융투자업계를 주도해 왔다. 외환위기 이후 '바이 코리아(Buy Korea)'펀드 열풍을 일으키며 한국경제 회생의 한 축을 담당하기도 했다. 모그룹인 현대그룹은 현재 첨단 제조와 물류, 금융ㆍ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그룹을 재편, 새로운 도약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현대증권을 한국 대표 금융투자회사로 발전시켜 그룹 내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회사로 육성할 계획을 수립,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경수 사장은 지난 2008년 5월 취임한 후 중장기 비전을 확고히 하고 기업단위 사업다각화를 강력하게 추진해 왔다. 이를 위해 최 사장은 ▦생산성 극대화 ▦책임경영 추진 ▦조직활성화 ▦고객감동 실현 ▦브랜드가치 제고라는 5대 경영방침을 내세웠다. 최 사장이 취임 후 가장 역점을 둔 것은 '수익구조의 선진화'다. 그 동안 편중됐던 주식 위탁영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주식ㆍ채권 등 자산운용 부문을 확충했다. 또 신규사업에도 극적으로 진출해 왔다. 이를 통해 취임 전 증권업계 6위였던 세전이익 규모는 최 사장 취임 후 첫해인 2008년과 2009년에는 업계 4위로 올라섰다. 증권사의 주요 수입원인 위탁영업 부분의 경쟁력 강화도 추진해, 2008년도 위탁영업에서 수수료수익 기준으로 업계 2위로 올라서기도 했다. 과거 위탁영업비중이 60~70% 수준으로 편중이 문제됐지만 지난 2년 동안 자산관리, 주식운용, 채권운용 분야를 확충하면서 위탁영업 비중은 50% 수준까지 낮아졌다. 앞으로 위탁영업뿐만 아니라 자산관리 부분에서도 시장지배력을 강화하고 수익구조를 좀 더 견고히 할 계획이다. 국내외 투자은행(IB) 및 자기자본투자(PI) 사업에서 성과가 본격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국내 'NO.1' 투자은행이라는 장기목표에 한층 다가설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국내 지점수 139개, 해외현지법인 뉴욕ㆍ홍콩ㆍ런던 등 3개, 해외지점 1개(도쿄) 해외사무소 3개(중국 상하이, 카자흐스탄 알마티, 베트남 호치민) 등 국내 증권사 최대수준의 영업망을 구축하고 있다, 현대CMA pro, 현대히어로ELS, QnA랩과 같은 스테디셀러 상품들을 보유하고 있다. 자산관리 시장에서는 2009년 3월에 현대증권의 독자적인 펀드 추천 및 관리시스템인 '초이스앤케어(Choice & Care)' 서비스, 2010년 1월에 자산관리브랜드 'QnA'를 론칭해 업계를 주도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에 주관한 중국계 중국원양자원의 상장은 해외기업 국내상장의 우수 사례로 꼽히고 있으며 2009년 블룸버그 IPO 주관 및 인수부문에서 누적순위 5위를 기록하는 등 IB부문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얻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 7월 자본금 300억원 규모의 종합자산운용사인 현대자산운용을 출범시켜 '바이 코리아' 시대에 증권업계에서 누렸던 독보적인 브랜드 가치 회복을 통한 명가의 부활을 꿈꾸고 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