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방향 잃은 대우종기 매각

경제부 윤혜경 기자

[기자의 눈] 방향 잃은 대우종기 매각 경제부 윤혜경 기자 경제부 윤혜경 기자 대우종합기계가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 향후 우리 사회의 흐름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잣대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당초 방침대로 조속한 매각이 이뤄질지, 아니면 인수를 희망하는 노동조합의 요구가 수용될지가 관건이다. 대우종기는 어떤 회사인가. 얘기는 5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굴지의 재벌이었던 대우그룹은 무분별한 사업 확장과 분식회계 여파로 90조원에 달하는 부채를 떠안은 채 몰락했다. 그룹은 흩어지고 간판이었던 ㈜대우는 대우건설과 대우인터내셔널로 대우 중공업은 대우조선해양과 대우종합기계로 갈라졌다. 지난 2000년의 일이다. 그로부터 4년이 흐른 지금 대우종기는 흑자기업으로 거듭났다. 연 매출 2조3,000억원, 당기순이익이 1,640억원에 이른다. 임직원들이 합심한 결과다. 정상화에 투입된 공적자금 12조7,000억원도 결정적인 도움이 됐다. 정상화로 들어선 만큼 투입된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것은 당연지사. 캠코가 대우종기를 매물로 내놓자 국내외 업체들이 ‘알짜 기업’을 사겠다고 몰렸다. 가장 비싸게 파는 일만 남기고 있었다. 그런데 초등학교 산수 문제처럼 간단 명료해보였던 이 게임의 양상이 복잡해지고 있다. 대우종기 노조가 지분매각 공동대책위(공대위)를 구성해 인수전에 뛰어들었기 때문. 국회 진출에 성공한 민주노동당도 이를 후원하고 나섰다. 정치적 힘겨루기 양상까지 개입된 난이한 싸움이 돼버렸다. 정작 문제는 원칙이 훼손되고 있다는 점이다. 당초 내부자라는 이유로 노조의 입찰 참여 불가 방침을 표명했던 대우종기의 최대주주 캠코는 청와대에서 회의가 열린 후 ‘노조도 끼어주겠다’고 말을 바꿨다. ‘주인(청와대)의 뜻을 따를 수밖에 없다’는 게 캠코 고위관계자의 변이다. 노조는 인수우선권과 가산점 부여 등 ‘특별 대우’까지 요구하며 민주노동당과 함께 정부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 이를 긍정적으로 본다는 청와대 관계자도 나왔다. 원칙이 사라진 가운데 새로운 판짜기가 진행되는 분위기다. 게임의 선수도 심판도 권력의 눈치만을 살피고 있다. 이런 와중에 7일 열릴 예정이던 공자위 매각소위가 연기됐다. 골치 아픈 문제를 일단 늦추자는 발상이 아니라고 믿고 싶다. 매각 지연의 피해는 국민경제에게 돌아간다. light@sed.co.kr 입력시간 : 2004-05-07 16:2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