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재계 일각 "충청권 신행정도시 효과 의문"

한경硏 허찬국 소장 "거점도시 건설을"

정부가 충청권에 신행정도시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재계 일각에서 충청ㆍ전라ㆍ경상도 접경에 대규모 거점도시를 건설하는 방안을 제기,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 허찬국 거시경제연구센터 소장은 17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개최된 제6회 한경연 라운드테이블 토론회에서 ‘신행정수도의 대안을 찾아서-진정한 국가발전을 위한 제언’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서울 중심의 일핵체제를 전국적 다핵체제로 전환하려는 정부의 균형발전 전략은 동시다발적 분산투자로 수도권의 막강한 구심력을 극복하지 못할 것”이라며 “선택과 집중에 기초한 거점도시 육성이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허 소장은 이어 “현재 추진 중인 연기ㆍ공주지역의 신행정 중심도시는 수도권과의 인접성 및 규모로 볼 때 수도권 과밀 해소, 균형발전 효과가 의문시된다”며 “신 거점도시는 수도권-충청권간 연담화(도시끼리 맞붙는 현상) 가능성을 감안할 때 공주ㆍ연기보다 원거리가 바람직하며 지역갈등 극복의 상징성 차원에서 충청ㆍ전라ㆍ경상도 접경지역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동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정책연구실장은 “국가균형발전 전략은 단순한 분산투자정책이 아니라 지식ㆍ기술에 입각한 혁신주도형 성장을 위한 새로운 국가발전전략”이라며 “수도권에 대응하는 강력한 거점도시 육성은 또 다른 불균형 발전론의 연장으로 실현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반박했다. 박상규 신행정수도후속대책위원회 기획총괄팀장도 “거점도시의 충청ㆍ전라ㆍ경상 접경지역 건설 제안은 대규모 신도시를 지방에 건설하기만 하면 지역균형발전이 자동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단순한 발상으로 실현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