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中華팽창주의]<3·끝>고구려사 왜곡 속사정<br>한반도 미래사에 영향력 속셈

전문가들 "남북 통일이후 개입근거 마련用"<br>지역개발 위해 주변 소수민족 껴안기 포석도<br>정부 적극대응·'고구려사 지키기' 운동 시급

[中華팽창주의]고구려사 왜곡 속사정한반도 미래사에 영향력 속셈 전문가들 "남북 통일이후 개입근거 마련用"지역개발 위해 주변 소수민족 껴안기 포석도정부 적극대응·'고구려사 지키기' 운동 시급 • "정치문제로 비화땐 韓中경협 악영향 우려" • "이홍장式 한반도 개입전략 노골화" • 1부 주식투자 개념 바꾸자 한국경제 영향은… 양에서 질로 경쟁전환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은 결국 중화패권주의를 지향하는 ‘팍스시니카(Pax-Sinica)’의 전주곡에 다름 아니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중국의 역사왜곡이 단지 학술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 의견일치를 보이고 있다. 고구려사 왜곡은 과거사의 문제가 아니라 한반도 미래사에 영향을 미칠 요량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도 중국 현지 전문가들이 확인해주고 있다. ◇중국 왜 고구려사를 왜곡하는가=중국이 고구려사 왜곡을 치밀하게 준비하고 완강하게 고집하는 이유는 바로 한반도의 통일 가능성에 대한 사전준비라는 게 한중 양국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중국인 학자는 “중국이 고구려사 문제를 들고 나온 것은 우선 향후 이뤄질 ‘통일 한국’에 대한 개입정책의 이론적 근거를 강화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고 지적했다. 한국 주도의 한반도 통일 이후 개입근거가 미약해지는 것을 우려하고 있는 중국으로서는 ‘한반도는 전통적으로 중국의 복속국가’였다는 역사논리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 이 학자는 “따라서 이번 고구려사 문제는 한반도 문제에 대한 미국의 전통적 개입론에 대한 대응논리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역사왜곡은 고구려사뿐인가=중국의 역사왜곡은 비단 ‘동북공정’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여호규 한국외국어대 사학과 교수는 “중국은 ‘동북공정’뿐만 아니라 티베트 신장위구르자치구와 윈남성에 있는 소수민족의 역사를 왜곡한 ‘서북공정’ 등 다른 소수민족과 관련된 역사문제는 이미 모두 마무리한 상태”라고 주장했다. ‘중국신화의 역사화 연구’라는 논문으로 연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유진씨는 “중국은 심지어 ‘단대공정(斷代工程)’이라는 것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중국의 고대신화를 모조리 역사적 사실로 둔갑시켜 중국역사를 5,000년이 아닌 1만년으로 뒤집는 작업”이라고 밝히고 있다. ◇고구려사 왜곡에 경제적인 이유는 없는가=중국이 동북공정 사업을 추진하는 데는 경제적 이유도 크다. 중국은 지역간 빈부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서부대개발’과 ‘동북3성(만주)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한국ㆍ러시아 등과 영토분쟁이 생길 수 있는 동북3성 지역과 베트남, 몽골, 신장, 광시(廣西) 장족 자치주, 티베트, 인도 등 주변국과 분쟁 가능성이 있는 서부 지역 개발을 보다 원만하게 추진하려면 현지 소수민족들에게 중국인으로서의 일체감을 심어주는 게 필수적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는 게 이름을 밝히기를 거부하는 중국 내 중국 전문가들의 일치된 분석이다. ◇2010년 이후를 주목해야=세계 경찰국가(패권국가)의 역할을 자임하고 있는 미국의 대외정책적 관점에서 중화민족주의는 ‘팍스시니카’의 전조로 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베이징 외교가의 한 고위관계자는 “미국은 그때(상하이박람회)까지는 중국을 돕는 척 하겠지만 오는 2010년 이후 중국이 계속 이 같은 입장을 취할 경우를 대비해 새로운 방책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정부의 대응전략은=정부는 중국정부가 내년 9월부터 사용할 초ㆍ중ㆍ고교 역사교과서에서 우리 민족과 국가 정체성의 뿌리인 고구려사에 대한 왜곡시도 여부를 향후 한중관계의 가늠자로 보고 강력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정부는 지난주 박준우 외교통상부 아태국장의 방중시 실제로 역사교과서를 개정, 고구려사를 왜곡할 경우 결코 용납할 수 없으며 지난 92년 8월 수교 후 급속히 발전돼온 양국관계가 위기에 직면할 것임을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박 국장은 “중국정부가 역사교과서 개정을 통해 우리 민족과 국가의 뿌리이자 정체성의 근본인 고구려사 왜곡을 시도할 경우 이를 결코 용납할 수 없으며 어떤 희생을 치를 각오가 돼 있다”며 우리 정부의 의지를 전달했다는 것이다. 정부의 대응도 중요하지만 학계에서는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범국민적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국민여론을 상시적으로 조직화하기 위해 ‘고구려사 지키기’ 운동을 적극 추진하고 한족정권이 자행한 ‘티베트 역사 죽이기’ 등 중국의 적나라한 실체를 알리기 위한 노력도 늦추지 말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베이징=고진갑특파원 go@sed.co.kr 임동석기자 freud@sed.co.kr 입력시간 : 2004-08-10 19:1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