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고유가, 세계 정치·경제지형 바꾼다

'최대 수혜국' 러, 푸틴 정치적 영향력 커져<br>베네수엘라등선 사회 개혁 지렛대로 이용<br>수입국 中·印은 공급난으로 사회불안 증폭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에 근접하며 치솟는 바람에 세계의 정치ㆍ경제 지형이 급변하고 있다. 산유국들은 고유가로 인해 전례없는 호황을 누리는 반면 수입국인 중국과 인도 등 석유 수입국들은 사회정치적 불안이 증폭되고 있다. 일부 산유국들은 막대한 석유 자금을 사회 개혁의 지렛대로 이용하는가 하면, 물류ㆍ관광사업에 투자하며 대규모 부동산 붐을 일으키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7일 고유가의 새로운 질서에 적응하는 것이 국제 정치의 핵심과제가 되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신문은 고유가 시대의 대표적인 승자로 러시아를 꼽았다. 10년전만 해도 국가파산 상태였던 러시아는 이제 엄청나게 쏟아져 들어오는 돈을 어떻게 쓸 지 고민하고 있다. 최근 120억달러를 투자하겠다며 2014년 동계올림픽 개최권을 따냈고, 영국 런던의 고가 부동산들을 싹쓸이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석유로 일군 부를 국민 건강복지나 교육, 주거 개선 등에 투입하겠다며 퇴임이후까지 정치적 영향력 확보를 꾀하고 있다. 세계 10위의 산유국인 노르웨이는 3,500억달러 규모의 국가연금펀드(석유펀드)를 유지하며, 2008년말까지 모든 어린이가 유치원에 다니도록 보조금을 대폭 확충하기로 했다. 중동의 산유국들도 또 다른 승자다. 석유 매장량이 곧 고갈될 것을 염려한 두바이는 과잉투자 우려에도 불구하고 석유 수익금을 대규모 관광, 부동산, 물류시설 건립에 투입하고 있다. 산유국 가운데 개도국은 오일 달러를 사회개혁의 단초로 활용하고 있다. 베네수엘라의 우고 차베스 대통령은 석유 수입금을 무료 의료ㆍ교육 혜택에 제공함으로써 사회주의 혁명을 강화하고 있다. 나이제리아는 석유사업으로 인한 막대한 부가 관료들에게 집중되고 있다. 앙골라에서 하루 2달러 미만으로 생활하는 사람이 3명중 2명으로 2002년과 큰 변화가 없으며, 상위 20위 부자중 17명이 전ㆍ현직 관료로 알려지고 있다. 앙골라는 최근 OPEC에 가입했으며, 중국의 최대 원유수입국이자 미국의 6번째 석유 공급국이다. 원유 수입국들은 부족한 석유를 확보하기 위해 한층 경쟁을 강화하고 있다. 이념과 정책을 떠나 아무리 고약한 국가라 해도 거래를 트고자 치열한 외교전을 펼치고 있고, 일부 국가들은 막대한 경제원조를 제공하며 환심을 사려고 한다. 석유 소비량의 절반을 수입해야 하는 중국은 정유사들이 수익성이 맞지 않는 정부 통제가격으로는 경유 공급을 거부하자 심각한 공급난에 직면하고 있다. 소비량의 70% 가량을 수입해야 하는 인도도 보조금으로 석유 소매가격을 적정 수준에서 동결시켰지만 유가 급등이 지속되면서 보조금을 줄여야만 할 상황이다. 독일은 석유 전량을 수입하지만, 러시아와 중동과의 외교에 성공해 재미를 보고 있다. 독일의 대러시아 수출은 2001년에서 2006년까지 128%나 증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