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세계 최고 인프라로 IT강국 '우뚝'

인터넷 서비스 상용화 10년<br>94년 '코넷' 아시아 최초 일반 국민에 서비스<br>99년 ADSL 본격화 年 100%이상 폭발 성장<br>가입자 2,800만명…포털등 17兆 신산업 탄생<br>유비쿼터스 눈앞속 음란물 홍수등 부작용도

인터넷 서비스가 국내에 선보인지 20일로 꼭 10년이 됐다. 지난 1994년 6월20일 KT는 국내는 물론 아시아 최초로 ‘코넷’(KORNET)이라는 이름의 인터넷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 이전에는 일부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정보교류ㆍ교육용 학술망으로 이용했을 뿐, 일반 국민들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제 전국 방방곡곡 어디를 가도 초고속 인터넷망이 거미줄처럼 깔려 있고 PC방들이 흘러 넘치고 있다. 인터넷은 이제 공기나 물 처럼 한국인의 생활 속에 없어서는 안될 인자로 자리잡았다. ◇인터넷의 태동= 초기 코넷은 국내 학술 인터넷망이었던 ‘하나망’을 이용, 전화 모뎀(Dial up) 접속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했다. 당시 인터넷 속도는 현재 인터넷 평균속도의 100분의 1에도 못 미치는 9.6Kbps. 하지만 요금은 지금보다 훨씬 비싸 한 달에 4만원씩이나 했다. 기업용 인터넷 전용회선 서비스는 이보다 훨씬 더 비싸 한달 사용료가 400만원에 달했다. 지금은 거의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인터넷 속도에도 짜증을 내곤 하지만 당시에는 인터넷의 ‘인’자는 참을 인(認)자라는 우스갯소리가 나돌 정도로 속도가 느렸다. 그러나 전화모뎀의 속도는 95년 28.8Kbps, 99년 56Kbps로 빨라지기 시작했고 한 때 인터넷의 총아로 불리다 지금은 사라져가고 있는 종합정보통신망 ISDN 서비스는 128Kbps의 속도를 과시, 세상을 놀라게 했다. 이후 98년부터 인터넷은 양적인 면에서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했다. 케이블 모뎀 방식의 초고속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고 99년 기존 전화망을 활용한 ADSL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제공되면서 인터넷 서비스는 연간 100%가 넘는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했다. 이에 따라 인터넷을 사용하는 저변도 함께 넓어졌다. 초고속인터넷 가입자수는 2002년 1,000만명을, 현재 1,150만명을 돌파했으며 인터넷 사용자수는 2,800만명에 이른다. 인터넷 통신선로인 백본(Backbone)망은 코넷의 경우 94년 전국적으로 10Mbps 수준이었던 것이 10년 사이에 489Gbps로 5만배 가까이 확대됐다. 인터넷이 벌어들이는 돈도 눈덩이처럼 불어나 99년 364억원에 불과하던 매출액은 2003년 3조7,000억원으로 1만%나 늘어났다. 모든 기간통신 매출액의 13%를 차지할 정도로 초고속성장한 것이다. ◇인터넷 성장 요인= 우리나라에서 인터넷이 급성장한 이유를 꼽으라면 무엇보다도 국민성을 빼놓을 수 없다. 인터넷은 이용자 개개인의 필요에 따라 실시간 검색이 가능해 성미가 급하고 교육열, 새로운 문화에 대한 적응력이 빠른 우리나라 국민에게 ‘천생연분’의 통신수단이었다. 여기에 온라인게임ㆍPC방ㆍ온라인뱅킹 및 증권거래 서비스의 보편화, KTㆍ하나로ㆍ두루넷 등 사업자간 치열한 경쟁과 저렴한 사용료, 전체 가구의 50% 이상이 아파트에 거주해 네트워크 구축이 쉽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점, 통신망의 초고속화를 추진한 정부의 e-코리아 정책도 초고속 성장을 한 몫 거들었다. ◇인터넷이 만든 문화= 인터넷은 태동 이후 10년간 사회문화적으로도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메신저, 블로그, 아바타, 얼짱 등 새로운 문화가 등장했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 이 같은 문화는 2002년 월드컵, 2003년 대통령 선거, 2004년 국회의원 선거 등을 통해 메가톤급의 위력을 발휘했다. 이용실태를 살펴보면 6세 이상 전 인구의 65.5%가 주당 평균 12.5시간씩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중학생은 3.1시간, 고등학생은 2.8시간씩 인터넷을 이용해 하루평균 2.4시간인 TV 시청보다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인터넷은 산업적 측면에서도 포털ㆍ게임 등 10조원에 이르는 디지털 콘텐츠, 7조원에 이르는 인터넷 쇼핑 등 다양한 사업을 등장시켰다. 그러나 인터넷 문화의 확산은 스팸메일ㆍ음란물 홍수, 인터넷 중독 등과 같은 부작용도 초래했다. KT의 경우, 인터넷 망에서 유통되는 메일 중 84%가 스팸메일일 정도다. 이 같은 상업용 광고메일은 매년 전분기 대비 4.4배씩 늘어나는 등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 중학생의 27.5%, 고교생의 23.8%가 인터넷 중독증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한글 유해사이트는 지난해 무려 3배가 증가, 17만개에 달하고 있으며 매일 250개꼴로 새로운 한글 유해 사이트가 생기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 초기에 웹검색 중심에서 직접 파일을 주고 받는 형태로 인터넷 사용 패턴을 바꾸고 있는 P2P(파일공유ㆍPeer To Peer) 서비스는 음악(Mp3)ㆍ동영상ㆍ프로그램 파일의 불법 복제와 무분별한 배포행위, 음란물 유통, 바이러스 유포, 통신망의 과도한 점유로 속도저하를 유발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인터넷의 미래= 인터넷은 유ㆍ무선 통합화와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광대역통합망 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을 토대로 발전에 가속이 붙고 있다. 이에 따라 KT는 약 40만 명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는 네스팟 서비스를 앞세워 공중무선랜 서비스를 활성화 시키는 등 본격적인 유무선통합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2005년 말부터 휴대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해져 언제 어디서나 초고속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유비쿼터스 환경이 실현될 전망이다. 또 기존의 통신망은 FTTH(Fiber To The Homeㆍ댁내광가입자망)와 VDSL 기술의 발전으로 100Mpbs 이상 고속도 광대역화와 IP 기반의 통합화를 이뤄 하나의 망으로 통신ㆍ방송이 융합된 광대역통합망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을 2006년까지 구축하게 될 전망이다. KT는 광대역통합망이 구축되면 이를 바탕으로 영상전화ㆍ회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광대역 네트워크 기반 교육ㆍ게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정보산업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