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검찰 'MK 소환 뜸들이기'는 다목적 전략

증거 다지기·심리전·여론 파악 등 포석

현대차 비자금 사건을 수사하는 검찰이 8일 귀국한 정몽구 현대차 그룹 회장 소환을 앞두고 현대오토넷 관계자 소환조사와 5개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CRC) 대표 3명 처리 등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당초 김재록씨 로비의혹 수사의 지류였던 현대차 비자금 수사의 정점이 정몽구 회장과 정의선 기아차 사장 조사고, 이들을 처리하지 않고는 본류인 김재록씨 사건으로 돌아가기 어렵다는 점에서 당분간 관심의 초점은 정몽구 회장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검찰은 정몽구 회장이 귀국 즉시 소환조사를 받지 않겠느냐는 관측과 달리 정 회장과 정의선 사장의 소환 시기를 귀국 후 일주일 이상 뒤로 잡는 등 신중한 모습을 보이며 기존 글로비스와 현대오토넷 압수물 분석에 주력하고 있다. 채동욱 대검 수사기획관은 7일 브리핑에서 현대 비자금 사건의 수사단계를 "(벼수확 이후) 밥을 짓는 단계며 아직 뜸들일 단계는 아니다"고 비유하며 아직까지 비자금 수사가 핵심부로 치고 들어갈 단계는 아님을 시사했다. 이는 결국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귀국한 정몽구 회장에게 `생각할 시간'을 주겠다는 의미로 보이며 정 회장에게서 현대차 비자금 용처와 관련한 의미있는 진술을 유도하기 위한 일종의 심리적 전략일 수도 있어 보인다. 정 회장의 출국 기간 검찰이 현대차 측을 향해 강경한 발언을 쏟아내자 현대차쪽에서 "과거 삼성에 비해 너무 망신주는 것 아니냐"는 불만이 제기됐던 점을 감안해 `강경책' 대신 `회유책'을 구사하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 회장이 귀국 후 곧장 출금될 것이란 예상과 재벌 총수 부자(父子) 동시소환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모두 빗나간 것도 수사에 협조하는 총수를 예우해 비자금 용처 파악이라는 `실리'를 얻으려는 계산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외에 검찰은 정 회장 소환 이전에 충분한 자료 분석을 해두고 정 회장 부자를상대로 `결정타'를 날리기 위해 꼼꼼한 사전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고 현대오토넷자료분석과 회사 관계자 소환 등 정지작업을 하려는 목적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채 기획관이 정 회장 조사와 관련해 "조사할 양이 많으면 한 두 차례 더 부를수 있는 데 구애받지 않겠지만 가급적 여러 차례 부르지 않게 효율적인 수사일정을짜겠다"고 말한 것은 정 회장 상대 조사내용이 많음을 전제한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검찰이 현대차 그룹 총수에 대한 강경한 사법처리 방침을 굳히고 여론을 살펴보기 위해 수사 속도를 늦추고 있다는 관측도 있다. 채 기획관이 이번 수사를 두고 "정관계 로비 등으로 포커스를 맞춰 생각할 필요가 없다"며 "회사를 이용한 부의 축적도 적법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 것은 정회장 부자에 대한 강경처벌 가능성을 높게 해주는 발언이다. 편법으로 경영권을 승계하거나 유지하려 한 재벌 기업 가운데 SK와 삼성이 이미처벌받은 만큼 현대차 그룹 역시 사법처리 칼날을 피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과 범죄 증거가 너무 명백해 검찰이 그냥 덮기 어려울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그러나 현대차 그룹의 대외 신인도에 문제가 생기면 해외 사업장 경영이나 수출등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와 국가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여론을 감안해 검찰이 쾌도난마식 수사 방식에서 한 발짝 물러나 호흡을 조절할 것으로 보인다. 그 때문에 정 회장에 대한 사법처리 수위는 검찰이 글로비스와 현대오토넷 조사에서 어느 정도의 증거를 확보하느냐와 정 회장측이 비자금 용처 수사에 얼마나 협조하느냐는 물론, 여론이 어떻게 형성되느냐도 감안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