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신 금융패권 막 오른 글로벌 허브 경쟁] 자유경쟁 통해 금융 체력 다지고 선진국과 파트너십 강화해야

■런던 금융전문가의 한국에 대한 조언

관련 인프라·정보 확충

전국민 금융지수 높이고 글로벌 스탠더드 갖춰

자체 경쟁력 제고부터


런던에서 만난 다국적 시장 전문가들은 한국 경제의 미래성장을 위해서는 금융과 비즈니스 서비스 부문을 육성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한국 경제와 금융시장의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다. 또 한국 제조업이 이뤄낸 성과부터 한국의 교육환경과 중산층의 몰락 위기 등에 이르기까지 각 분야에 걸친 상세한 정보를 갖고 있었다. "특정국 경제를 정확히 분석해 투자자들에게 가장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21세기 최첨단 복합산업인 금융 서비스 업계의 역할"이라고 그들은 말했다. 한국보다 훨씬 앞서 금융시장의 글로벌화를 이루고 금융허브를 구축한 런던 금융 전문가들의 조언을 들어봤다.

◇금융산업 육성은 '선택' 아닌 '필수'=영국 금융가인 '시티 오브 런던'의 전문가들은 "한국 금융 서비스의 국내총생산(GDP) 기여도는 4.7% 내외로 7% 수준인 금융허브들과 큰 차이가 있다"며 "낙후된 금융 및 비즈니스 서비스 부문을 선지적으로 육성하는 길만이 경제 전반의 미래 성장을 이뤄낼 핵심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봄 글로벌 컨설팅 업체인 맥킨지 역시 1998년 이후 15년 만에 '한국 경제 2차 분석 보고서'를 발간하면서 고부가가치 금융 및 비즈니스 서비스 산업 육성을 국가적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허브 이전에 경쟁력 제고가 먼저=런던증권거래소(LSE)에 상장된 업체들의 국적은 줄잡아 60여개. 하지만 한국 업체의 런던 상장은 주식예탁증서(ADR)를 통한 투자를 제외할 때 아직 전무하다. 글로벌 전문가들은 "한국의 제1금융권이 고위험 대출상품을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다면 중산층 빚 문제 해결의 혜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지만 이 같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해서는 답변을 꺼렸다.

일부 전문가들은 금융허브 정책과 관련,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좋겠다"며 글로벌 수준과 동떨어진 한국 금융의 위상을 에둘러 표현했다. 허브 경쟁에 나서기에 앞서 자체적인 금융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전국민 금융지수를 높여야=선진 금융권인 런던에서는 공항 내 가판대는 물론 주택가 어귀의 소형 잡화점에 이르기까지 잘 정리된 금융전문 서적을 매우 손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관련기사



런던정경대(LSE)는 영란은행(BOE)의 도움을 받아 유럽의 대표적인 거시경제 분석 센터인 파이낸셜마켓그룹(FMG)을 설립, 학계와 시장의 간극을 메우는 리서치 선진화 작업을 주도해왔다. 금융 인프라 및 정보 지수가 매우 박약한 우리와는 매우 동떨어진 셈이다.

영국 당국도 일찌감치 세제혜택이 큰 개인저축계좌(ISA)를 도입하고 어린이펀드와 주니어 개인저축제도를 잇달아 실시하는 등 간접투자 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해왔다.

◇수익원 다각화 절실=런던증권거래소(LSE)는 금융위기 와중인 2009년과 2011년 유럽의 전자거래 플랫폼인 '터퀴즈'와 유럽 최대 증권예탁기관인 이탈리아 '몬테티톨리'를 각각 인수했다. 지난해에도 장외파생상품 유럽 청산소인 'LCH'를 매입하는 등 위기 국면에서 되려 확장을 고집했다. 그 결과 LSE는 주식·채권·파생상품 거래, 예탁 등 수수료 수입, 각종 정보기술 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40대30대30의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 런던시티UK의 관계자는 "선진금융이 위기 뒤 더 큰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면 한국 금융업의 위기가 가중될 수 있다"며 "위기를 수익원 다각화의 기회로 삼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외환위기 공포 잊고 '개방' 선도해야=각종 규제철폐와 지배구조 이슈 해결, 투명성 및 개방성, 전문성 확보 등도 전문가들이 빠짐없이 언급한 부분이다.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 등은 오히려 시장을 왜곡할 수 있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일부 아시아계 전문가들은 "한국 금융은 (선진금융의 파고에 맞서) 지금까지 잘해왔다"며 "앞으로 어떤 방향을 설정하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들은 한국 제조업이 외환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선진화 도약을 이뤄낸 점을 언급하면서 한국 금융산업도 자유경쟁 실현을 통해 체질변화를 이뤄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과 연관된 다양한 금융상품 개발, 무역금융 등 한국만의 고유한 특질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조언도 잊지 않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