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이번엔 핀란드 '헉!'

마이너스 성장 전환으로 더블딥 우려


핀란드가 유로존 회원국으로는 처음으로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다가 다시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서 더블딥 우려를 낳고 있다. 핀란드 통계청은 9일(현지시간) 올해 1ㆍ4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에 비해 0.4% 감소했다고 발표했다고 AFP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핀란드는 지난해 4분기에도 마이너스 성장률(-0.2%)을 보여 더블 딥 양상을 나타냈다. 핀란드는 지난 2008년 9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4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하다가 지난해 3분기 플러스 성장(0.5%)으로 돌아섰다. 핀란드는 지난해 마이너스 7.8%의 성장률로 유로존 국가 가운데 최악의 경제성적을 나타냈다. 스웨덴 투자은행인 한델스방켄의 티나 헬레니우스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경기가 2분기 연속 후퇴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면서 "핀란드는 서비스 수요 등 민간소비가 여전히 위축된 데다 제지 및 기계류, 휴대폰 등 주요 제품의 수출도 부진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 3월 항만 노동자들이 2주 이상 파업을 벌이면서 당시 수출의 90% 가량이 중단된 게 1분기 수출부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핀란드의 1분기 수출은 전분기에 비해 11% 감소했다. AFP통신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핀란드는 다른 유럽연합(EU) 국가들보다 글로벌 경기침체에 더 큰 타격을 받았다"며 "핀란드의 앞으로 경기흐름은 주요 수출대상국인 스웨덴ㆍ러시아ㆍ독일 경제의 회복세에 달려 있다"고 분석했다. 핀란드는 GDP 대비 수출 비중이 40%를 넘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올해 핀란드 경제는 현재 침체의 깊이와 빠른 고령화 등 구조적 문제를 감안할 때 매우 불확실하다"고 전망했다. 한편 핀란드의 재정건전성 상태는 매우 양호한 편이다. 핀란드는 룩셈부르크와 함께 유로존 내에서 유일하게 EU 안정ㆍ성장협약(재정적자 GDP 3%, 국가채무 GDP 60% 이내)을 준수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