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지역에 구리공장을 제외한 증설을 추진하겠다.” 하이닉스반도체의 최대 현안인 이천공장 증설 문제가 새로운 해법을 찾고 있다. 하이닉스 측에서 환경문제로 증설의 발목을 잡았던 구리를 사용하는 초기공장과 마무리공정을 분리하는 ‘엔드팹’ 개념을 도입해서라도 이천 공장 증설을 강행하는 쪽을 가닥을 잡았기 때문이다. 김종갑(사진) 하이닉스반도체 사장은 2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취임후 첫 기자간담회를 갖고 “가장 시급한 문제는 투자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라며 “내부적으로 구리를 사용하지 않는 공정만을 이천에 증설하는 방안을 놓고 심사숙고중이며 1주일 내 결론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정부의 입장 변화를 묻는 질문에 “지난해 하이닉스는 구리공정을 포함한 증설을 요청했고 정부에선 환경문제 등을 이유로 이를 허가하지 않았다”며 “환경문제와 수도권 규제를 분리해서 생각할 때 구리공정을 제외한다면 이천 증설문제도 해결될 것”이라고 낙관적인 견해를 밝혔다. 하이닉스가 추진하고 있는 엔드팹은 메모리반도체 생산공정중 구리가 사용되지 않는 75%의 공정을 이천에서 소화하고 나머지 25%의 공정을 청주 또는 제3공장에 넘겨 생산하는 방식이다. 김 사장은 추가로 “이천공장의 증설은 기존 부지외에 규모를 늘릴 경우 새로운 수도권 규제 심의를 받아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재 가능한 부지내에서 증설을 할 지 규모를 늘려 추가적인 심의를 받을 것인지도 함께 검토해 연내 최종 결정을 내리겠다”고 말했다. 환경문제에 민감한 만큼 김 사장은 NGO와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하이닉스 환경감시단을 구성할 계획이다. 하이닉스의 또 다른 현안인 ‘주인 찾기’를 위한 로드맵도 3개월후 선보일 예정이다. 김 사장은 “최근 시가총액이 15조원에서 17조원으로 불어나는 등 (1개 회사가) 쉽게 경영권을 가져갈 수 없는 상황”이라며 “여기다 기술유출법 등으로 외국으로 매각도 어려운 만큼 국내에서 하이닉스의 새로운 주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이어 “특정 회사가 경영권을 확보하기 어렵다면 재무적 투자자나 공동 투자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이며 “임기 동안 한국적 자본주의의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이닉스의 사업구조가 특정 품목에 편중됐다는 지적과 관련, 김 사장은 “당장은 어렵지만 P램, 비메모리 등으로 사업 확대를 준비하겠다”며 “앞으로 4년간 매년 4조5,000억원을 들여 해마다 1개 라인을 세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주로 예정된 황창규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사장과 만남에 대해 “국내 반도체장비나 재료업계가 취약한 만큼 그런 기업들에게 기회를 확대하는 차원에서 삼성과 협력해 나갈 생각”이라고 김 사장은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