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버냉키 "내년 양적완화 단계적으로 더 축소할 것"

“고용·경기에 달려 있어…실업·인플레 목표치 당장 미조정”

재임 마지막 기자회견 “결정 전 옐런과도 협의…전폭적 지지”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은 18일(현지시간) 양적완화 축소를 결정한 것은 경기 및 고용 상황이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이며 내년 채권 매입 규모를 더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버냉키 의장은 이날 금리·통화정책 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현행 월 850억달러인 채권 매입액을 내년 1월부터 750억달러로 줄이는 테이퍼링(tapering·자산 매입 축소)에 착수하기로 결정하고 나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미국 경제가 지속적인 개선세를 보인다면 내년 8차례 열리는 FOMC 회의에서 국채 및 모기지(주택담보부) 채권 매입 규모를 이번과 유사하게 100억달러 안팎씩 ‘점차’(modestly or moderately) 줄여나가겠다는 것이다.

버냉키 의장은 그러면서도 향후 추가 축소 조치는 ‘데이터’(고용 및 경제 통계)에 달렸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버냉키 의장은 미국 경기 회복은 아직 갈 길이 멀고 장기 실업률도 우려스러운 상황이지만 금리 인상의 목표치인 실업률은 내년 말에 6.5%로 내려갈 수도 있다고 부연했다.

또 인플레이션이 너무 낮은 수준에서 계속 머물러 있지 않도록 필요하다면 가능한 모든 대책을 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연준이 제시했던 실업률(6.5%)과 인플레이션(2.0%) 목표치를 조정할 가능성을 예상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버냉키 의장은 아울러 미국의 경기 회복이 느려진 것은 주택 시장 거품 붕괴나 시퀘스터(지출 자동 삭감)에 따른 연방정부의 빠듯한 예산, 유럽 채무 위기 등 몇몇 ‘불운’ 탓도 있다고 진단했다.

내년 1월 31일 임기가 끝나는 버냉키 의장은 특히 테이퍼링 착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후임 의장으로 지명된 재닛 옐런 부의장과 ‘긴밀하게’ 협의했으며 ‘전폭적’ 지지를 받았다고 소개했다.

또 자신의 퇴임이 이번 결정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면서 일각에서 나오는 ‘결자해지’(자기가 도입한 양적완화를 퇴임 전에 축소하기 시작해야 한다는 의미) 평가를 부인했다.

버냉키 의장의 기자회견은 이번이 마지막이다.

내년 1월 28∼29일 FOMC 회의 때는 경기 전망이 별도로 발표되지 않고 연준 의장 기자회견도 없다.

이어 3월 열리는 FOMC 회의에서는 옐런 새 의장이 기자회견을 한다.

옐런 지명자는 이번 주 미국 상원의 인준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